"사람이 떠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위기 신호"

입력 2017-01-10 10:32  



(김용준 생활경제부 기자) 2001년 초 FBI 특수 요원 케네스 윌리엄스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애리조나주에 있는 민간 항공 대학교 연수생 명단을 들여다 보고 있던 중이었다. 이상 현상은 이슬람계 연수생 숫자의 급속한 증가였다. 직관적으로 패턴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느꼈다.

2001년 7월10일 그는 FBI로 이런 사실을 적은 메모를 보냈다. “민간 항공학교 목록을 작성하고, 테러와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야 한다”는 게 골자였다. 훗날 이 메모는 ‘피닉스 메모’로 불린다. FBI 관계자 12명 이상이 이 메모를 봤다. 그러나 무시했다. CIA와 안보보좌관들은 이 메모의 존재도 알지 못했다.

두달 후인 9월11일 오사마 빈 라덴에 의한 뉴욕 쌍둥이 빌딩 폭파 사건이 일어났다. 테러범들의 신상은 나중에 알려졌다. 미국 항공학교에서 연수를 받은 이들이었다.

<징후 없는 위기는 없다>

모든 위기는 징후를 동반한다. 자연현상도 그렇고, 인간의 일도 그렇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못본척 한다. 그래서 위기는 커진다. 결정적 사건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911 테러, 힐러리의 낙선, 박근혜 정부의 탄핵 등이 그 예다. 정치적 위기는 말할 필요도 없다.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대한항공 오너의 딸을 감옥에 넣었던 땅콩회항, 롯데에 대한 검찰 조사, 삼성에 대한 특별검사 조사 등이 모두 그렇다.

위기는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대응은 할 수 있다.

<위스콘신을 찾지 않은 힐러리의 낙선>

많은 사람이 힐러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트럼프가 될 것이라고 한 사람도 소수 있었다. 단순한 지지자여서가 아니라 과학적 분석의 결과를 통해 이를 암시한 사람이 있다. <<위대한 탈출>>을 쓴 노벨경제학상 수상 앵거스 디턴이다. 그는 2016년 5월 한 컨퍼런스에서 최근 15년간 특정 계층의 사망률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45~54세 백인 중년층(특히 저학력층)이었다. 15년간 같은 나이대의 히스패닉과 흑인 사망률은 하락했다. OECD 국가중 유일하다고 디턴은 지적했다. 이들의 주요 사망원인은 스트레스와 심각한 약물 중독이었다. 과거 우범지대 흑인을 묘사할 때 등장한 단어들이었다. 그리고 디턴은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 백인 남성들이 주로 도널드 트럼프 대선후보의 지지자들과 겹친다”

그들이 트럼프를 지지하는 것은 필사적으로 ‘우리를 구해달라’는 SOS를 보내고 있다는 얘기였다. 이들은 실제 투표에서 트럼프를 지지했다. 히스패닉과 흑인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긴 이들이 트럼프에게 절박한 메시지를 보낸 결과가 미국 대통령 선거였다.

힐러리는 이 구조신호에 답하지 않았다. 위스콘신이 대표적이다. 이 지역이 전통적인 민주당 텃밭이라고 생각한 힐러리는 유세기간 중 한번도 위스콘신을 찾지 않았다. 위스콘신, 미시건, 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 등 러스트 벨트를 모두 내줬다. 대통령 자리까지.

어떤 이들은 러스트 벨트의 패배를 의문의 1패라고 한다. 아니다. 신호, 징후를 무시한 것에 대한 대가였다.

<“이번 정부는 제대로 임기를 마치지 못할 수 있다”>

2013년 9월말쯤이었다. 보건복지부를 취재하고 있던 때다. 당시 장관은 진영(현 국회의원)이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탄핵으로 직무정지중, 이하 기사에서는 존칭 생략)의 측근이었다.

그는 기초연금 문제를 놓고 청와대와 부딪쳤다. 대통령과 독대를 청했지만 불발됐다는 얘기도 들렸다. 9월말 그는 사표를 냈다. 그리고 10월25일 문형표 KDI 연구위원이 장관에 내정됐다. (아이러니다. 평생 국민연금을 연구한 학자인 그가 국민연금 때문에 구속된 것은.)

진영은 그 즈음 계동에 있던 복지부 사무실로 마지막 인사를 위해 나왔다. 그리고 간부들을 모아 놓고 이런 저런 얘기를 하고 떠났다. 구체적인 얘기는 정확치 않다. 요지는 그랬다. “아마도 이 정부는 임기를 마치기 힘들지도 모르겠다.”

박근혜 정부에서 파열음이 난 첫 번째 케이스였다. 조직이 망가질때 가장 먼저 벌어지는 일이 사람이 떠나는 것이다.

그러나 진영이 복지부를, 정부를 떠날때까지 박근혜는 독대를 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의 위기를 예고한 첫 번째 신호였다. 이를 무시했다.

이후에도 도처에서 징후가 나타났다. 왕실장이라 불렸던 김기춘 비서실장의 전횡 얘기도 들렸고, 정윤회 문건 사건도 터졌다. 또 측근중 측근이었던 유승민마저 등을 돌렸다. 박근혜 정부는 수많은 징후를 그냥 지나쳐 버렸다. 그 결과는 탄핵이었다.

정치권뿐 아니라 기업도 마찬가지다. 징후는 위기에 선행한다. 위기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징후를 파악하고 대비하면 위기확산은 막을 수 있다. 사람이 떠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위기 신호 가운데 하나다. 다음에는 징후를 흘려보내 위기를 키운 기업들의 사례를 정리해볼까 한다. (끝) / junyk@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