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증권사인 미래에셋대우의 이만열 전무(CRO)는 16일 올해 리스크 관리의 방향과 돌파 전략으로 '채권시장 모니터링 강화'·'해외 투자 전문성 제고'·'내부 심사 역량 강화'를 제시했다.
이 전무는 "올해 초대형 투자은행(IB)으로 도약한 만큼 글로벌 자산배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해외투자 전문성을 갖추겠다"며 "발행어음, 종합투자계좌(IMA) 등 관련 업무에 대비한 내부 심사 역량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글로벌 자산배분, 글로벌 브로커리지를 통해 우량자산을 고객에게 공급하겠다"며 "상품, 컨설팅, 자산배분 등 연금 관련 전 부문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유지하겠다"고 언급했다.
NH투자증권은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 조직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염상섭 NH투자증권 상무는 "채권 등 신규 포지션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부터 선제적으로 리스크에 대비하겠다"며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포착된다면 신속히 출구 전략을 세워 관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증권 역시 대내외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김남준 삼성증권 리스크관리 담당은 "금리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에서 정치적·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최근 수 년간의 리스크 관리 기조보다 상대적으로 더 안정된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상품대응 역량'·'글로벌 리스크관리 체계'·'대체투자의 질적 관리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 글로벌 경제성장이 정체되면서 업계는 상품 다변화, 해외진출, 대체 투자에 역량을 집중할 수 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기욱 신한금융투자 본부장은 "'실질적인 리스크 관리'에 방점을 두고 한정된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대내외 업황 악화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전략을 짜되, 블루오션을 찾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 증권사 길기모 전무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증권업계의 경쟁에 당장 동참하지 않겠다"며 "리스크를 관리하며 적정한 투자의 시기를 저울질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KB증권은 특정 포트폴리오로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한 자산운용 다변화를, 하나금융투자는 단기 자산 운용 및 편중 억제, 우발채무 증가 억제를 통한 자산건전성 제고 등을 리스크 관리 원칙으로 꼽았다.
※ 관련기사
[불확실성의 시대 (상)] 2017 증권업계 CRO가 꼽은 최대 리스크는?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