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전문팀 구성 등 스마트폰 배터리 안전성 대폭 강화
삼성전자는 23일 서초사옥에서 국내외 언론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갤럭시노트7 소손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소손 원인 조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UL, Exponent, TUV 라인란드 등 해외 전문기관서도 독립적인 조사를 진행했다. UL의 컨슈머비즈니스 부문 사지브 지수다스 사장, Expont의 수석 연구원 케빈 화이트 박사, TUV 라인란드 홀거 쿤츠 부사장이 참석해 각각 조사 결과를 밝혔다.
고동진 무선사업부장(사장)은 " 그동안 고객 여러분들과 통신사업자, 유통 거래선, 모든 협력사에게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여러분들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갤노트7 소손의 원인을 철저하게 밝혀내고 개발, 제조, 검증 등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소손원인에 대한 개선 외에도 배터리 내부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특수 장비를 도입하고 배터리와 완제품에 대한 대량 충방전 테스트,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가속 시험도 강화하는 등 '8 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삼성전자는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와 검증, 공정 관리 등을 전담하는 '부품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하는 등 부품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강화했다.
삼성전자는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해 '다중 안전 장치'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배터리 실장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 소비자가 사용 중 제품을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배터리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는 한편, 배터리에 대한 언전 설계 기준도 강화했다.
또 충전 온도와 전류, 충전 속동 대한 보다 안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등 소프트웨어 보호 알고리즘을 강화했다.
삼성전자는 학계와 연구기관의 전물가들로 자문단을 구성해 제품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캠브리지대학교 클레어 그레이 박사, 버클리대학교 거브랜드시더 박사, 스탠포드대학교 이 추이 박사, 아마즈 테크컨설팅 CEO 토루 아마즈쓰미 박사 등 리튬 이온 배터리 건문가들을 자문단으로 위촉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사태를 업계 전체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다중 안전 설계와 검증 프로세스 등을 관련 단체에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한편 삼성전자 갤노트7 소손 원인은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분석됐다.
고동진 사장은 "지난 수개월 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 뿐 아니라 각각 검증단계와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에서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실시했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며 "대규모의 재현 테스트 설비를 구축해 사용자 조건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충방전 테스트를 통해 소손 현상을 재현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소손 현상을 재현했으며 갤노트7에 채용돤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언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갤노트7 소손 원인분석에 참가한 해외 전문 기관들 분석 결과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모아졌다. 글로벌 과학회사 UL은 갤노트7 소손 원인 규명을 위한 상세한 기술적 분석을 진행했다.
UL은 제품 레벨에서 갤노트7 소손과 연관된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A배터리는 배터리 위쪽 코너에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으로 배터리 내부 단락을 발생시켜 소손 유발 요인을 분석했고, B배터리에 대해선 비정상 융착돌기,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으로 조합이 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고 사장은 "혁신적인 갤노트7을 만들기 위해 배터리 사양에 대한 목표를 제시했고 배러티 설계와 제조 공정상 문제점을 제품 출시전에 최종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하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경영 전반에 걸쳐 품질 최우선의 경영체제를 강화해 제품 안전성에 있어서도 새로운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