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들어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빠른 속도로 낮아지고 있다.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의 투입 증대를 통한 성장이 미약한 가운데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도 정체돼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경제가 지속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의 혁신 역량을 증대시켜 경제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기업이 꾸준히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필자는 2000~2014년 외부감사 대상 기업으로 등록된 약 2만2000개 국내 기업 자료를 이용해 기업의 성장성과 고용창출 역량 등이 기업 규모나 나이(업력) 등 기업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봤다.
분석 결과 2000년대 후반 이후 한국 기업의 성장성과 고용창출 역량이 현저히 약화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령 2001~2007년 제조업체 종사자 1인당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은 약 4.3%(연평균), 서비스업체는 약 4.1%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8~2014년은 각각 2.5%, 1.6% 수준으로 하락했다. 또 기업별 종사자 수 증가율도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에서 2008~2014년에 2001~2007년보다 약 1~2%포인트 하락했다.
대체로 규모가 작고 젊은(업력이 짧은) 기업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성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업력이 12년 이하인 제조업체의 1인당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은 2008~2014년 연평균 3.4%로 업력이 12년 이상인 기업들에 비해 1%포인트 이상 높았다. 서비스업체는 그 차이가 더욱 컸다. 업력이 12년 이하인 젊은 기업의 1인당 부가가치 증가율은 연평균 4.3%로, 업력이 12년 이상인 기업(0.7~1.0%) 수준에 비해 세 배 이상 빠른 성장성을 보여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른 조건이 같다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젊은 기업일수록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경향은 2000년대 이후 시장에 진입한 신생 기업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기업의 고용창출 역량 분석 결과에서도 시장에 갓 진입한 상대적으로 젊은 기업일수록 기업 성장에 따라 고용을 늘리는 효과가 더 크고 분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한국도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기업들의 성장성이나 고용창출 효과가 기존 대규모 기업들에 비해 적지 않거나 오히려 더 클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고용창출 역량 증대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젊은 기업들이 지닌 역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제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다만 본 연구는 자산 규모가 100억원 이상인 외부감사 대상 기업들의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것으로 이보다 작은 규모의 기업들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돼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김영준 <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이 글은 한국금융연구원의 《한국경제의 분석》에 게재된 논문 ‘우리나라 기업 특성별 성장성 및 고용창출 효과 분석’(손종칠(한국외국어대) 공저)을 요약한 것입니다.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