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서울 관악구의 AED 설치 지점과 2014년 관악구에서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곳을 비교·분석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관악구 AED의 약 75%는 일정 시간에 특정시설을 이용하는 소수만 사용할 수 있었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34%가 건물 바깥에서 발생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과 무관하게 제세동기가 설치된 셈이다.
연구팀은 급성심정지 위험군인 노인층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심정지 위험지역’으로 설정하고 직접 개발한 최적화 모델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제세동기의 위치를 도출했다. 선정된 곳에 제세동기를 배치하면 기존보다 약 25% 많은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