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지방 소멸' 위기

입력 2017-02-15 18:08  

총 인구 5170만4332명
전국 시·군·구 10곳 1월 출생자 10명 미만



[ 마지혜 기자 ] 지난 1월 한 달 동안 태어난 아기가 10명도 안 되는 시·군·구가 전국에 10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 출생자(1월 기준)가 10명 미만인 시·군·구는 2015년 5곳, 지난해 8곳에 이어 3년 연속 늘어났다.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지방의 위기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올해 1월 말 한국 주민등록 인구가 5170만4332명으로 지난해 12월 말보다 8116명(0.0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1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 출생신고한 인구는 3만862명이었다. 경기 수원(840명), 경남 창원(663명), 경기 성남(638명) 용인(620명) 고양(616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한 달 새 인구가 늘어난 시·도는 경기(1만1840명), 세종(1891명), 인천(940명) 등 9곳이었다. 부산(1750명 감소), 경북(1595명 감소), 강원(1594명 감소), 전남(1534명 감소), 전북(1493명 감소) 등 8개 시·도의 인구는 줄어들었다.

10개 시·군·구에서는 한 달 출생자가 10명에 못 미쳤다. 경북 울릉(1명)과 전북 무주·경북 청송·경남 남해(4명), 강원 고성(5명), 경남 의령(6명), 강원 양양(7명), 전북 진안·경북 군위·영양(8명) 등이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지방 소멸’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지역 내 신생아 증가 가능성이 미미한 상태로 한 세대(30년)가 지나면 인구가 급격히 줄어 해당 지역 산업과 생활기반이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에서다.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9월 발표한 ‘한국의 지방 소멸 위험 지역 현황’에 따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 226곳 가운데 84곳(37.2%)이 지방 소멸 위험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3일 ‘인구 감소 대책과 중앙·지방의 역할’을 주제로 한국지방자치학회와 함께 연 세미나에서 ‘지방 소멸 방지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인구 감소지역에 대한 종합 대책을 담겠다는 구상이다.

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