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할 자유도 다른 자유와 마찬가지로 싸워서라도 지킬 각오를 하지 않는 한 저절로 보장되지 않는다. 소위 정경유착을 비난하지만 정치가 기업할 자유를 보장하면 기업인들이 정치권 주변을 얼쩡거릴 이유가 없다. 문제의 본질이 이런데 정치인은 심판자처럼 굴고 기업인은 언제나 죄인처럼 당하고만 있다. 이는 조선시대 사농공상의 질서요 반문명적이며 억압적 질서에 지나지 않는다.
국회의원들이 삼성그룹의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라고 다그치는 것 등도 상상할 수 없다. 미래전략실이라는 조직 자체와 최순실 사태가 무슨 상관이 있다는 건가. 삼성의 규모나 구조로 보면 그룹 내 어디선가는 투자와 그룹 업무 등을 조정하는 통제 조직이 필요할 수밖에 없고, 또 그런 문제는 삼성이 알아서 할 문제다. 정치인이 해체를 명령할 사안 자체가 아닌 것이다. 오히려 정치인이 왜 부당하게 기업 조직까지 간섭하느냐고 반박해야 마땅한 문제다.
전경련 해체 압박도 마찬가지다. 정치인이 협박한다고 기업이 너도나도 두려워 탈퇴하겠다고 나오면 온전할 경제단체가 없다. 물론 전경련이 관료화됐다든지 정부 대변 창구로 전락했다는 비판은 제기될 수 있다. 그런 문제를 해소할 다른 방법을 찾아야지, 정치권이 해체하라 간섭하고 또 기업들이 그 명령에 따른다면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질서는 결국 파괴되고 만다. 이 역시 정치권이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라고 분명히 선을 그어야 한다. 기업에도 기업할 자유를 위해 저항할 권리와 책무가 있다. 기업활동을 범죄시하거나 적대시하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에 기업들이 당당히 맞서야 할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