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발전연구원(원장 강성철)은 27일 BDI 정책포커스 ‘사회통합 차원의 부산시 외국인 유학생 정책방안’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이정석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유학생 정책은 심리적 적응, 학업 성취 등에 초점을 둬 왔기 때문에 사회통합이 미흡했다”며“사회적 포용성, 문화적 다양성, 사회적 화합을 입체적으로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부발연이 부산지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사회통합 실태를 조사한 결과 9가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포용성에서는 차별방지 장치 설치의 부족, 기숙사 외 주거 공간 소개 부족, 진학 지도 중심의 진로 지원, 단순한 학비 지원 제도 등이다. 문화적 다양성에서는 생활 적응 지원 제도 부족, 학내 외국인 유학생 커뮤니티 등록 저조, 교내·외 커뮤니티와의 교류 지원 부족으로 분석됐다. 사회적 화합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와의 연계 지원 부족, 학교별 커뮤니티 참여 행사지원 부족으로 파악됐다.
이 연구위원은 “사회적 포용성 차원에서는 주거안정과 취업기회 확대가 필요하고 문화적 다양성 차원에서는 부산시한국어학당 신설, 다문화 이해교육 확대 실시, 유학생 커뮤니티 설립·운영 지원, 어울마당 등 문화교류의 장 운영 변화 등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적 화합 차원에서는 ‘지역사회통합꾸러미’ 제공, 부산시 외국인주민 대표자회의 구성, 외국인유학생회 및 연합회 결성 유도, 외국인주민의 애향심 고취 등을 제시했다.
그는 “정책방안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부산시가 추진체계를 정립하는 한편 시는 도시홍보와 재정지원, 대학은 유학생 유치활동, 국제교류재단은 실행력 제고 등으로 역할 분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 거주 외국인 유학생은 2016년 4월 1일 기준으로 22개 대학에 120개국 출신 7813명이 재학 중이다.중국이 5089명(65.1%)으로 가장 많고 베트남 616명(7.9%), 인도네시아 374명(4.8%), 일본 281명(3.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유학생 비율이 1%를 넘는 국가는 모두 아시아 국가로 86.8%를 차지했다. 시·도별 외국인 유학생은 전국은 2012년, 부산은 2011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다가 2015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로 전환했다. 시·도별 외국인주민 중 유학생 점유율에서 부산(10.6%)은 대전(19.9%), 광주(11.7%)에 이어 3위였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