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병훈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703/2017030972381_AA.13478237.1.jpg)
20년째 귀농생활을 하고 있는 장영란(58)·김광화(60)씨 부부가 사람들이 잘 주목하지 않는 곡식과 채소 등의 꽃을 다룬 《밥꽃 마중》을 냈다. ‘밥꽃’은 우리 밥상에 매일같이 올라와 사람을 먹여 살리는 식물의 꽃이라는 뜻으로 저자가 만든 말이다. 이들 부부는 “해 뜨면 일어나고 해 지면 자고 싶은 마음”에 1998년 서울에서 전북 무주로 이사해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귀농생활의 경험을 통해 《자연달력 제철밥상》 《아이들은 자연이다》 《숨쉬는 양념·밥상》 등 자연 먹거리에 대한 책을 내면서 유명해졌다. 최근에는 밥꽃 동영상을 제작해 크고 작은 모임에서 사람들과 함께 보는 ‘밥꽃 상영회’를 열고 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3/2017030972381_AA.13478207.1.jpg)
이들이 책에 ‘이론 공부’라는 난을 만들어 곡식과 채소의 식물학적 분류, 원산지 정보와 국내 도입 시기, 식물 용어 등을 정리해서 담은 이유다. 학계에서 통하는 이론을 갖추려는 게 아니라 우리 먹거리에 대한 애정과 호기심에서 나온 지식 탐구다. 저자들은 “먹거리의 근원을 더듬어가다 보면 수박 원산지가 남아프리카이고 국내에는 고려시대에 들어왔다는 사실 등 뜻밖의 것을 알게 된다”며 “먹거리의 고향을 알게 되면 그걸 키울 때 물이 부족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지, 물을 주기적으로 줘야 하는지 등 환경적 요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440쪽, 1만7000원)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