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가 세계 주요 43개국 가운데 3번째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6%로 1년 전 87.0%에 비해 4.6%포인트 상승했다.
한국의 증가폭은 노르웨이(7.3%포인트)와 중국(5%포인트)에 이어 BIS가 자료를 집계하는 세계 43개국 중 세 번째로 컸다. 한국의 경제규모에 비해 가계부채의 증가속도가 그만큼 빠르다는 뜻이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자체는 43개국 중 8위를 기록했다. 주요 경제대국인 미국(79.4%)이나 유로존(58.7%), 일본(62.2%)은 물론 영국(87.6%)까지 앞질렀다.
한국의 작년 3분기 기준 가계부채는 1조3420억 달러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정한 한국의 작년 명목 GDP 1조4044억 달러와는 624억 달러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세계에서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로는 128.2%를 기록한 스위스가 꼽혔다. 2위는 호주(123.1%), 3위는 덴마크(120.7%), 4위는 네덜란드(111%), 5위는 노르웨이(101.1%), 6위는 캐나다(100.6%), 7위는 뉴질랜드(94.4%)가 각각 차지했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8개 신흥국 중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신흥국 2위인 태국(71.2%)이나 3위 말레이시아(70.4%), 4위 홍콩(66.7%)과는 격차가 크다. 한국의 이 비율은 1962년만 해도 1.9%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0년 50%대, 2002년 60%대로 진입하며 가파른 속도로 치솟아 홍콩을 앞지른 뒤 14년째 신흥국 1위를 지키고 있다.
이같이 전 세계에서 기록적인 규모로 꼽히는 한국의 가계부채는 한국 경제의 성장전망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오는 15일 미국의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가계부채 문제는 시한폭탄이 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공식적인 탄핵으로 새 대통령을 뽑기 위한 준비절차에 들어간 것은 한국 경제의 단기 성장 전망을 부양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면서도 "가계부채와 조선업 구조조정, 해외역풍으로 한국 경제의 성장세가 제약을 받아 급속도의 회복은 예정돼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