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전성시(文前成市)·안산인해(安山人海) 라니…이게 정상적 나라인가

입력 2017-04-09 17:53  

대선 줄서기가 요란스럽다. ‘5·9 대선’을 한 달 앞두고 관료들과 교수들이 유력 후보 캠프에 막바지 합류하려고 온갖 줄을 대고 있다는 소식이다. 일찌감치 특정 후보에 줄을 선 ‘성골’ ‘진골’들에 이어 막판까지 눈치 보던 사람들이 ‘더 늦기 전에 6두품이라도 되자’며 합류하고 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대세론’을 형성했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캠프로 사람들이 쏠렸다. 문 후보의 성을 따서 ‘문전성시(文前成市)’라는 말이 나왔다. 최근엔 지지율이 급등하고 있는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캠프를 노크하는 이들이 많다. 연고가 닿는 캠프 인사들을 찾느라 바쁘다는 말도 나온다. 안 후보의 성을 넣어 ‘안산인해(安山人海)’라는 조어까지 생겼다. 양다리 걸치기도 있다고 한다.

관료들의 캠프 줄대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정권 말 각종 아이디어를 책상 속에 모아두었다가 유력 후보에게 내미는 경우도 있다. 공무원들의 정치 중립을 규정한 국가공무원법(65조)은 유명무실해졌다. 그 폐해는 심각하다. 정치에 눈 돌리지 않고 묵묵히 주어진 일을 하는 관료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갖게 마련이다. 능력보다 줄을 잘 타 자리 보존 또는 승진 여부가 갈린다면 관료사회에 큰 위화감을 낳는다.

교수들의 캠프 참여도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각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교수는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많다고 한다. 문 후보와 안 후보 모두 어림잡아 각각 10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勢) 과시 성격이 짙다. 물론 교수들의 현실 정치 참여를 무조건 나쁘게만 볼 일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연구실의 이론을 현실에 적용해 나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삼고초려’해서라도 모셔와야 한다.

문제는 강의와 연구는 내팽개치고 캠프 참여를 한자리 차지하는 기회로 활용하려 한다는 점이다. 정치 교수를 뜻하는 ‘폴리페서(polifessor)’들이 학문의 전당인 대학을 정치권 줄 대기의 장으로 전락시킨 사례는 많다. 관료와 대학사회가 정치계절만 되면 ‘권력 바라기’로 오염되는 현상을 언제까지 두고봐야만 하나.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