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설마 물지는 않겠죠? 새끼 사자와 산책하니 '심장이 쫄깃'
태초의 신비가 있는 '일곱 빛깔 모래 언덕'은 모리셔스의 자랑
산호모래에 반사된 바다는 우아한 크림색을 뽐내고…
사탕수수로 만든 럼 한잔, 흥겨운 세가댄스에 몸을 맡겨봐
산호모래에 반사된 바다는 우아한 크림색을 뽐내고…
사탕수수로 만든 럼 한잔, 흥겨운 세가댄스에 몸을 맡겨봐
![](https://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702370.1.jpg)
이국의 휴양지를 꿈꿀 때 떠오르는 특유의 환상 같은 것이 있다. 근사한 리조트의 해변에서 천국 같은 시간을 보내는 설렘 말이다. 인도양에 있는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 여행도 그렇게 시작했다. 따뜻한 해변에서 파스텔톤 바다에 발을 담그고 여유를 만끽할 수 있다. 바닷바람을 충분히 느낀 뒤에는 아프리카 동물들이 숨 쉬는 사파리가 기다린다. 바이크를 몰며 광야를 누비다 보면 잊고 있던 야생의 본능이 되살아난다. 시장과 골목으로 걸음을 옮기면 우리네 1960~1970년대 같은 풍경 속에서 훈훈한 온정이 오간다. 거리에서 마주치는 검은 피부와 말간 눈을 가진 사람들의 웃음에 자꾸만 셔터를 누른다. 원한다면 리조트의 도움을 얻어 어부와 새벽 낚시를 나갈 수도 있고, 현지인 가정을 방문해 함께 저녁을 먹을 수도 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190.1.jpg)
리조트 안에서의 시간이 ‘휴식’이라면, 리조트 밖에서의 시간은 ‘발견’의 연속이다. 그 속에서 마주하는 모리셔스 사람들의 미소는 잊기 힘들 정도로 순수하고 따뜻한 위안이 된다.
비 온 뒤에는 반드시 무지개가 뜬다는 인도양의 섬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717903.1.jpg)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144.1.jpg)
바다가 좋아서 아침엔 해변 레스토랑에서 천천히 조식을 먹었고, 저녁엔 모래를 밟으며 오래 일몰을 봤다. 물속에 직접 뛰어들어 윈드서핑이나 패러세일링 같은 레포츠를 즐기는 사람도 많았다. 모두 바다를 다 가진 듯이 즐거운 표정이었다.
지친 영혼을 깨우는 아프리카의 대지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229.1.jpg)
아프리카로 여행 오는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 중 또 하나는 사파리 투어다. 트루 오 비슈에서 남쪽으로 약 38㎞ 떨어진 곳에 카셀라 네이처 파크(Casela Nature Park)라는 사파리가 있다. 어린 사자들과의 산책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는 곳이다. 이른 아침 도착해 자세한 주의사항을 듣고 난 뒤 가이드를 따라나섰다. 먼 숲에서 사자들이 햇살을 받으며 걸어 나오자 심장이 저절로 뛰었다. 어리다고 해도 웬만한 성인보다 크고 이빨도 무척 날카로웠다. 목줄도 없는 사자가 몸을 스칠 정도로 가까이 왔을 땐 숨이 멎는 듯했다. 조심스레 손을 뻗어 털을 어루만지며 함께 숲길을 걸었다. 살아 있는 생명의 움직임과 뜨거운 온기에 움츠렸던 몸이 깨어나는 듯했다. 이후에는 사륜 모터사이클에 올라 흰 코뿔소, 아프리카 영양, 얼룩말, 기린 등이 서식하는 광야를 누볐다. 오랜만에 맛보는 야생에서의 자유에 가슴이 탁 트였다. 동행한 남자 선배는 질주하듯 달리다 일부러 흙먼지를 내며 커브를 꺾곤 했다. 잊고 있던 어린 시절의 소년이라도 깨어난 것처럼.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717904.1.jpg)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119.1.jpg)
애잔함이 깃든 모리셔스의 역사
모리셔스는 400여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이었다. 1510년 무렵 포르투갈 선원들이 상륙하면서 발길이 머물기 시작했다. 1598년 네덜란드인들이 정착을 시도하면서 황태자 모리스(Maurice)의 이름을 따서 ‘일 모리스(Ile Maurice)’라고 부른 것이 국명의 기원이다. 이후 프랑스와 영국이 차례로 점령하면서 아프리카와 인도인들을 이주시켜 여러 인종이 사는 나라가 됐다.
지금도 모리셔스에는 인도계, 유럽계, 흑인과 백인의 혼혈인 크레올 등 다양한 사람이 어울려 산다. 수도 포트루이스(Port Louis)의 중앙시장에서 여러 인종이 뒤섞인 활기찬 일상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조그만 상점마다 알록달록한 채소, 과일, 곡물, 향신료, 설탕, 럼주, 홍차 등이 즐비했다. 가판엔 영어, 크레올어, 프랑스어가 병기돼 있었다. 채소나 과일은 깜짝 놀랄 만큼 가격이 쌌고, 기념품은 흥정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서로 떨어져 있는 관광지를 다니다 보면 아득한 사탕수수밭이 펼쳐지곤 했다. 사탕수수로 만드는 품질 좋은 설탕과 럼(rum)이 모리셔스의 특산품이다. “18세기 초 프랑스가 모리셔스를 점령할 때 아프리카 노예들을 이주시켜서 사탕수수 농장을 경영하기 시작했어요. 1810년부터는 영국으로 통치권이 넘어갔는데 1833년에 노예제가 폐지돼 많은 농장이 문을 닫았죠.” 운전대를 잡은 가이드 드라이버가 말했다. 리조트나 여행사에 문의하면 운전과 관광을 겸하는 가이드 드라이버를 연결해 준다. 우리 일행을 책임진 라구(Raggoo)라는 이름의 가이드는 해박했다.
“새로운 노동력이 필요해지자 계약 노동 형태로 많은 인도인이 집단 이주했어요. 당시 인도인들에게 이민은 새로운 기회였죠. 노동은 고단했지만 생계는 훨씬 나아질 수 있었으니까요.”
모리셔스는 196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지금의 모리셔스인 상당수가 당시 이주노동자의 후손이라고 그는 말했다. 자신도 역시 인도계 모리시언이라고 했다. 창문 틈으로 사탕수수 짚단을 태우는 냄새가 흘러들어왔다. 달큼하면서도 매캐한 내음에서 지난 역사의 애잔함이 묻어나는 것만 같았다.
모리셔스 사탕수수로 만든 럼은 세계로 수출된다. 리조트나 술집마다 각자만의 홈 메이드 럼을 만들어 선보이기도 한다. 제조 과정을 볼 수 있는 농장 생토뱅(Saint Aubin)에 들렀다. 장인이 기계에 사탕수수를 집어넣어 즙을 짜내고 있었다. 가까이서 보기 위해 다가가자 그는 씹어서 맛을 보라며 사탕수수를 한 조각 내밀었다. 입 안에 넣고 씹으니 어지러울 정도로 강한 단맛이 났다. 그 정도로 달아야 발효를 거쳐 럼이 될 수 있다고 장인은 말했다. 증류와 병입까지의 전 과정을 견학한 뒤 여러 가지 럼을 맛봤다. 타는 듯한 목 넘김과 부드러운 향이 묘한 여운을 남겼다.
마침내 마주한 날것 그대로의 모리셔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097.1.jpg)
관광지 사이 사이 지나는 모리셔스의 마을들은 아주 작고 소박했다. 에어컨도 안 돌아가는 시내버스가 경적을 울리며 지나갔고, 사탕수수 잎을 손으로 엮어 지붕을 얹은 집도 보였다. 우리네 1960~1970년대 같은 모습이 정겨워 굿랜드(Good land)라는 이름의 동네에서 카메라만 들고 거리로 나섰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168.1.jpg)
모리셔스에서는 현지인 친구를 사귀는 일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몇몇 리조트에서 현지인과 시간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투숙객이 잠시라도 이곳 사람처럼 살아보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원한다면 누구나 현지 요리사와 크레올 요리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어부의 낚싯배를 타고 새벽 낚시를 나가는 것도 가능하다. 평범한 가정집을 방문해 저녁을 먹으며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기도 한다. 나 역시 비슷한 방법을 통해 현지인들과 어울렸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129.1.jpg)
우리네 김치찌개처럼 모리셔스 가정에서 자주 해먹는 후가이(rougaille) 만드는 법을 배웠다. 바닷가에 모닥불을 피우고 크레올 전통춤인 세가 댄스도 췄다. 나중엔 동네 사람들이 슬리퍼를 신고 드나드는 선술집에 가서 맥주도 마셨다. 여행이 끝날 때쯤엔 오랜 친구처럼 깊게 정이 들었다. 모리셔스에는 ‘낙원’이나 ‘천국’ 같은 단어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위안이 있었다. 어쩌면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이국의 섬나라에서 찾고자 하는 여행의 본질인지도 모르겠다.
모리셔스=나보영 여행작가 alleyna2005@naver.com
여행정보
![](http://img.hankyung.com/photo/201704/2017041629341_AA.13699177.1.jpg)
해변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트루 오 비슈, 콜로니얼 풍의 근사한 저택으로 지어진 생 레지스, 모리셔스 문화를 깊이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있는 질와 애티튜드를 추천한다. 한국에서는 보통 여행사를 통해 항공, 숙소, 가이드 드라이버를 예약한다. 여러 여행사를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상세한 정보를 알려주는 곳으로는 드림 아일랜드를 추천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