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7일 미국 플로리다주 마라라고휴양지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우리 언론들은 이를 ‘세기의 담판’이라며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과 무역 불균형 등 현안에 대한 집중 논의를 가졌다.’ ‘두 정상은 전날 만찬을 가진 데 이어 확대 정상회담과 업무 오찬을 가졌다.’
이들 문장에 공통적으로 쓰인 서술어 ‘가지다’는 대표적인 영어말투다. 국어학자들 사이에 이런 지적이 나온 지 꽤 오래됐지만 여전히 기사문장에서는 이 말이 위력을 떨치고 있다. 그만큼 한번 새겨진 글쓰기 습관은 바꾸기 힘들다는 얘기도 된다.
‘하다, 열다, 치르다’ 등 서술어 많아
어떤 주체가 ‘(회의/행사 따위를) 가졌다’고 말하는 것은 영어의 ‘have’ 동사를 직역한 것이다. 이 경우 우리말법은 ‘열었다’ 쯤인데, 영어에 워낙 익숙해져 있다 보니 ‘가지다’라는 술어를 무심코 많이 쓴다는 게 국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물론 영어식 표현이라고 해서 무조건 배격할 필요는 없다. 우리말 체계에 없는 말이라든지 또는 우리말을 풍성하게 하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가져다 쓸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우리말에 있는 것이라면 굳이 가져다 쓸 이유가 없다. 고릿적부터 써오던 말이 가장 자연스럽고 친숙한, 그럼으로써 소통에 더 효율적인 표현이 되기 때문이다. 표현이 어딘지 모르게 어색하다는 것은 세련되지 않다는 뜻이다. 외래어투 표현을 조심하라는 것은 그런 뜻에서 하는 말이다.
앞에서 예를 든 문장에서도 ‘회담’과 어울리는 우리말 표현은 ‘하다’다. 말로 할 때는 ‘정상회담을 했다’고 하지 ‘가졌다’고 하지 않는다. ‘현안에 대한 집중 논의를 가졌다’ 역시 어색하다. 이는 ‘현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가 자연스러운 우리 어법이다. 만찬이나 오찬도 ‘하는’ 것이지 ‘가지는’ 게 아니다. 잘 들여다보면 매우 어색하다는 게 드러난다.
글쓰기에서 ‘가지다’가 무소불위의 힘을 보이는 까닭은 두 가지가 있는 것 같다. 하나는 영어의 위력으로 인해 이 말이 우리말에 이미 깊이 스며들어 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언론 보도에서 흔히 보이는 ‘~와 인터뷰를 갖고’ ‘현판식을 가졌다’ 같은 게 그런 것이다. ‘인터뷰를 하고’ ‘현판식을 열었다’고 하면 그만인데 굳이 ‘가지다’를 쓴다. ‘대담을 가지다’는 ‘대담을 나누다’로 쓰면 된다. 그게 자연스러운 우리 말투다.
의미에 적확한 말을 찾아라
또 하나는 ‘가지다’가 쓰이는 용례가 우리말에서 너무나 다양하다는 점이다. ‘가지다’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열 가지 이상 의미용법이 나온다. 그만큼 쓰임새가 많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는 뒤집어 말하면 뜻하는 바를 드러내는 적확한 말이 아니라는 뜻도 된다. 흔히 접하는 다음 같은 문장을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간담회를 가지다/개인전을 가지다/기자 회견을 가지다/환경 문제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다.’ 이들은 모두 ‘열다/치르다’로 바꿔 쓸 수 있다. 그것이 적확한 우리말 표현법이다. 말로 할 때는 “아이가 몇 있냐?”라고 묻고 “아이가 몇 있다”고 답한다. 글로 쓸 때는 부지불식간에 ‘자녀를 세 명 이상 가진 사람은…’ 식으로 쓰곤 한다. 잘못된 글쓰기 습관 때문이다.
좋은 글쓰기란 ‘우리말답게’ 쓰는 것이다.
‘우리말답다’는 것은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쓴다는 뜻이다. 모국어 화자라면 따로 훈련받지 않아도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법’을 알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