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뒤에도 대선 승리할지 관심
[ 이재창 기자 ]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치러진 여섯 차례 대선에서 보수와 진보 정권이 10년씩 번갈아가며 권력을 잡았다. 노태우·김영삼 정부(1988년 2월~1998년 2월)는 보수정권이고, 김대중·노무현 정부(1998년 2월~2008년 2월)는 진보정권이다. 이명박·박근혜 정부(2008년 2월~2017년 3월)는 보수정권, 이번에 다시 진보정권이 들어섰다. 5년 단임제 대통령이 보수와 진보 진영에서 10년 주기로 바뀌는 사이클이 반복되고 있다.
‘10년 주기설’은 보수든 진보든 어느 한 진영에서 10년간 국정을 운영하다 보면 인사와 정책의 실패가 쌓이게 마련이고 이에 실망한 유권자들이 다음 대선에서는 반대 진영을 밀어준다는 게 논지다. 김영삼 정부 말기에 터진 측근 비리와 외환위기는 국민에게 정권교체 열망을 불어넣었다. 김대중 진보정권의 탄생은 그 결과물이다. 노무현 정부 막판에 터진 비리와 반노(반노무현)정서는 보수정권 출범을 예고했다.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는 국민의 정권교체 요구로 이어졌고, ‘촛불 민심’의 결과물로 탄생한 게 문재인 정부다.
정치 여건을 고려하면 현 정부에 이어 진보정권이 적어도 한 번은 더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다. 무엇보다 차기 대권 인재풀에서 진보진영이 유리한 고지에 올라있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박원순 서울시장 등 차기를 노리는 ‘스타 정치인’이 진보진영에는 많은 데 비해 보수진영엔 뚜렷한 주자가 보이지 않는다. 진보세력이 결집하고 있는 데 비해 보수 지지 기반이 분열됐다는 점도 진보진영에 유리한 구도다.
물론 보수가 다시 결집하면 상황이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대선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득표율을 합하면 52.2%에 달한다”며 “보수가 결집하면 중도층 향배에 따라 진보와 보수의 팽팽한 대결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창 선임기자 leej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