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변인은 "하지만 총리 인준 과정에서 일부 야당의 태도에 대해 협치정신에 어긋난 점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하는 바"라며 "앞으로 여야는 협치정신을 살려 총리 및 장관들의 인사기준을 합의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눈높이 맞는 인사 기준을 세우는 작업을 해야 한다"며 "불필요한 정쟁요소는 과감히 시정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국회의 임명동의안 본회의 통과가 '반(反)민주적'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명연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같은 날 논평을 통해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 본회의 처리가 강행됐다"며 "제1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반민주적 폭거를 저지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이는 문재인 정부가 애초에 협치를 할 생각이 없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야당은 무시한 채 제 멋대로 국정 운영을 하겠다는 선전포고와 같다"고 유감을 표했다.
이어 "정부여당의 독단적 국정 운영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임명동의안 처리가 곧 모든 의혹의 해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자유한국당 측은 앞으로 제1야당으로서 견제 기능을 확실히 하는 강한 야당이 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국민의당 이 총리 인준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들을 지적하며 보완을 요구했다.
최명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낙연 총리의 국회 인준은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국회의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반영된 것"이라며 "정부는 인준 청문회 과정에서 제기된 의혹 등이 말끔히 해소되지 않았음에도 인준에 협력한 국민의당의 입장을 잘 헤아리기 바란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새 정부는 이낙연 총리의 인준과정에서 드러난 세부 인사원칙 미비 등의 문제점을 신속하게 보완해, 향후 인선에서 더 이상 국민을 실망케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또한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인준안 상정 자체를 반대하며 표결에 불참한 점과 표결에 참여한 의원들 중 20여 명이 사실 상 반대의사를 표시한 점은 이낙연 총리가 향후 실질적인 여야 협치에 더욱 더 노력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측은 이 총리에게 책임총리로서의 분명한 위상과 권위를 가지고 인사제청권 등을 엄정하게 행사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국회는 이날 오후 열린 본회의에서 이낙연 총리 후보자 인준안에 대해 무기명 투표를 실시한 결과 재적의원 299명 중 188명이 출석, 찬성 164표로 임명동의안을 가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인준 직후 이 총리에게 임명장을 직접 수여했다. 이 총리는 임명장을 받은 직후 정부서울청사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갖고 45대 총리에 취임, 공식 직무수행에 들어갔다.
김소현 한경닷컴 기자 ks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