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환출자 고리 어떻게 잘 끊을까
(2) 카드 등 금융 계열사 처리 순조로울까
(3) 국민연금, 4개사 분할·합병에 찬성할까
[ 좌동욱 기자 ]

9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칠성, 롯데푸드 등 계열 4개 상장사는 지주사 전환을 위한 분할 및 합병 목적으로 지난 8일 주주 명부를 폐쇄했다. 다음달 5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뒤 합병 반대 주주들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하는 절차 등을 거쳐 오는 8월29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
롯데그룹 지주사 전환이 주목받는 이유는 복수의 상장사 분할과 합병을 동시에 추진하는 국내 첫 사례기 때문이다. 롯데는 4개 상장사를 각각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한 뒤 투자회사를 지주사로 합병시키는 ‘분할 합병’ 방식을 선택했다.
이런 방식은 복잡하게 얽힌 순환출자 고리를 신속하게 끊어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여러 곳에 흩어진 그룹 오너 지분이 지주사로 통합되는 효과가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경우 신설 롯데 지주사 지분 10.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떠오른다. 향후 4개 사업 자회사 지분을 공개 매수하고 이를 롯데 지주사 신주로 나눠주는 절차가 이뤄지면 신 회장은 지주사 지분율을 추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재계는 이런 방식의 지주사 전환을 문재인 정부가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분할 및 합병 절차를 받는 과정에서 정부 승인 또는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절차가 다수 있어서다.
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대주주가 관행 또는 편법으로 계열사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차단하겠다는 공약을 다수 발표했다. 물론 이런 공약은 국회의 법 개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등 정부 관련 부처들이 대통령 공약 취지를 내세워 지주사 전환에 필요한 승인 또는 허가 절차를 깐깐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롯데 지주사는 금산분리 관련 법률에 따라 지주사 출범으로부터 2년 안에 롯데카드 롯데캐피탈 등 금융사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
이 회사들을 신 회장 개인 또는 지주사의 지배를 벗어나 있는 호텔롯데나 일본의 롯데 계열사 등에 팔 경우 금융위와 공정위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합병 과정에서 새로 형성된 신규 순환출자 고리도 6개월 안에 해소해야 한다.
정부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않은 국민연금 등 연기금의 태도도 중요한 변수다. 국민연금은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롯데칠성 10.05%, 롯데푸드 12.77%의 지분을 들고 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