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알고싶다'에서 6월 항쟁 30주년을 맞아 민주주의의 현주소를 묻는다.
10일 오후 방송되는 SBS 시사교양프로그램 '그것이알고싶다'에서는 6월 항쟁 30주년을 맞아 민주주의를 위해 광장에 나온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도운 시민들의 이야기를 공개한다.
2017년은 6월 항쟁 30주년이다. 시민들은 불과 얼마 전 촛불을 들고 함께한 광장에서 힘을 모으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다. 30년 전 그 여름의 거리도 그랬다.
명동에서 45년 째 가게를 운영하는 탁필점 할머니는 지금도 명동의 거리를 보면 그 날이 선명히 떠오른다. “호헌철폐! 독재타도!” 한 마음 한 뜻으로 구호를 외치던 날, 전경을 피해 최루탄을 피해 도망치는 학생들을 가게 안으로 숨겨줬다.
당시 한양대 간호학과 학생이었던 유진경 씨는 친구들과 의료진단에서 함께 활동했다. 다치는 사람이 생기면 치료를 하는 것이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자신의 일이었다고 회상했다. 각자의 자리에서 함께 했던 30년 전 6월 거리 위의 사람들은 모두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바람을 갖고 있었다.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1987년, 6·10항쟁 이후 30년이 흐른 지금, 우리가 더 나은 세상에 살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노동조합을 만든 주동자로 지목돼 85년도 한국중공업에서 해고된 김창근 씨. 5년 만에 복직이 됐지만 IMF이후 구조조정을 이유로 2002년에 또 다시 해고된다. 사측은 민영화 반대 파업을 하는 노조원들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정당한 파업과 요구는 불법으로 치부됐다. 창근 씨의 동료 고 배달호 씨는 분신으로서 부당함에 저항했다. 김창근씨는 “누가 자기 목숨이 안 아까운 사람이 어디 있고 그렇게 하고 싶은 사람이 누가 있겠어요?”라고 되물었다.
87년 당시 택시 운전 일을 하던 박채영씨는 자신의 권유로 택시 노조에서 함께 활동하던 고 허세욱씨를 떠나보내야했다. 허씨는 2007년 4월 1일 한미 FTA 협상을 중단하라며, 협상장인 서울 하얏트 호텔 앞에서 분신했다. 그의 유서에는 본인을 위해 모금을 하지 말라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자신을 위해 모금할 직원들이 모두 다 ‘비정규직’ 이었기 때문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거리 위에서 부딪히며 이루어 낸 민주주의가 왜 이들에겐 희망이 되지 못한 걸까.
이번주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6월 항쟁 3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현 주소를 묻는다. 그리고 6월 민주항쟁에서 촛불혁명으로 이어진 정신을 통해 이 땅을 사는 평범한 시민들이 이끈 변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함께 나아갈 민주주의를 고민해본다.
한경닷컴 연예이슈팀 newsinfo@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