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형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706/2017062382061_AA.14173893.1.jpg)
최 회장은 사회적 기업이 영리 시장을 바꾼 사례로 국내 1호 사회적 기업인 다솜이재단을 꼽았다. 이 재단이 공동간병 사업에 나선 뒤 24시간 노동이 기본이던 간병시장이 하루 8시간 노동의 공동간병 중심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SK가 후원한 사회적 기업 실버영화관이 인기를 끌면서 주변 지역이 노인문화 특구로 조성되고 어르신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사회 성과가 창출된 사례도 소개했다. 그는 “사회적 기업이 주류 경제주체가 되면 더 많은 사회적 혁신이 사회 전체로 퍼져나가 한국 사회를 획기적으로 행복하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적 기업 국제포럼은 2007년 7월 사회적 기업법 시행을 기념해 고용노동부와 한국 사회적기업진흥원이 2012년 처음 연 뒤 올해로 6회째를 맞았다. 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과 진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비롯해 사회적 기업 및 지원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