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있는 아침] 마네 '올랭피아'

입력 2017-07-03 17:57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 김경갑 기자 ]
19세기 중반 프랑스 화단은 실험적인 젊은 화가들의 열기로 가득했다. 문화를 선도하는 아방가르드를 자처한 젊은 작가들이 고위층의 부패를 시각예술로 비판한 작품을 쏟아냈다. 인상주의 화풍의 창시자 에두아르 마네(1832~1883)도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꾀하면서 새로운 변화에 동참했다. 그는 이탈리아 화가 베첼리오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와 프란시스코 고야의 ‘마야’,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오달리스크’ 이미지들을 차용해 전통적으로 인식돼온 여성 누드의 스타일을 새롭게 탈바꿈시켰다.

1865년 파리 왕립아카데미의 살롱전에 출품해 입선한 이 그림은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를 패러디한 걸작이다. 마네는 당시 유명한 매춘부 빅토린 뫼랑을 모델로 고전 회화의 이상형 나체와는 전혀 다른 도발적 누드화를 선보여 파리 화단을 놀라게 했다. 상류층의 관음증을 만족시켜 줄 여신을 벌거벗은 창부로 둔갑시켜 차갑고 세속적인 리얼리티를 살려냈다.

눈을 번뜩이는 검은 고양이, 꽃다발을 들고 있는 흑인 하녀를 부속장치로 활용해 주인공을 부각했다. 프랑스 소설가 에밀 졸라는 이 그림을 보고 새로운 ‘모더니티의 시도’라고 칭찬했지만 대다수 미술 비평가들은 ‘똥배가 나온 오달리스크’라며 혹평했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