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직에서 물러난 한민구 "사드, 국가 이익 최우선 고려"
[ 정인설 기자 ] 송영무 신임 국방부 장관이 14일 취임 일성으로 새로운 국군 건설과 자주국방을 강조하며 고강도 국방개혁을 예고했다. 2개월가량 미뤄진 군 수뇌부 인사를 서둘러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송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장관 이·취임식에서 “우리는 더 이상 어떤 이유로도 국방개혁을 늦춰서는 안 된다”며 “우리 군을 새롭게 건설한다는 각오로 국방개혁에 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상황은 어느 때보다 준엄한 상태”라며 “이런 안보 환경 속에서 우리는 후손들에게 우리의 운명을 스스로 지켜낼 수 있는 자주국방의 강군을 만들어 물려줘야만 한다”고 역설했다.
송 장관은 5대 국방개혁 과제도 제시했다. 첫째가 본인도 가고 싶고 부모들도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병영 문화를 창조하는 것이며 둘째는 한·미동맹 발전이다. 이 밖에 여군 인력 확대, 방위산업 육성, 국가재난 같은 비군사적 위협에 대비한 포괄적 안보체제 구축도 중요 과제로 꼽았다.
송 장관은 간소하게 취임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군 수뇌부 인사를 가장 빨리해야 한다”며 조기 인사 의지를 내비쳤다. 다만 ‘17일께 대장 인사를 하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빨리는 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헌법 89조에 합참의장과 각군 총장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선 이르면 17일께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신임 합참의장을 우선 내정한 뒤 나머지 대장 인사는 이후에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합참의장, 육군·공군참모총장, 1·3군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연합사부사령관 등 7명이 교체 대상으로 꼽힌다. 작년 9월 취임한 엄현성 해군총장은 임기가 아직 남았다. 육사 출신이 독식해온 육군참모총장에 비육사 출신이 임명되느냐와 ‘육방부’로 불릴 정도로 육군이 주요 보직을 맡아온 국방부가 해·공군으로 다변화될지가 관심사다.
이날 송 장관에게 국방부기를 물려주며 장관직에서 물러난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은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의 정당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한 전 장관은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는 대한민국 안보와 한·미 동맹, 국가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추진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방 업무의 특성상 진솔한 소통이 어려울 때도 있었고 때로는 오해와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고 털어놨다. 1971년 육사 31기로 들어온 한 전 장관은 이날 이임식을 끝으로 43년간의 군 생활을 마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