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안보·전략적 이익 위협할 수도
[ 허란 기자 ] 미국이 안보를 이유로 드론(무인항공기) 수출을 제한하고 있는 사이 중동 아프리카 등 분쟁지역에 중국산 드론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의 전략적, 상업적 공백이 생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중국산 군사용 드론 모델 ‘윙룽’과 ‘레인보’가 이라크 예멘 시리아 리비아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 내전 지역에 배치됐다. 지난해부터 찍힌 인공위성 사진을 확인한 결과다.
미국 정부는 오랫동안 드론 수출을 제한해 왔다. 적대 세력의 손에 들어가거나 중동 지역에서 이스라엘을 겨냥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에서다. 영국이 유일하게 미국산 공격용 드론 ‘프레데터’와 ‘리퍼’를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미국의 빈자리를 파고들며 드론 수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영 항공업체들은 미국산 드론과 비슷한 제품을 제작해 미국 동맹국에 헐값에 팔았다.
지난 6월 미 국방부 보고서에 따르면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나이지리아 등이 중국산 드론을 구입했다. 미국의 전통 맹방인 사우디와 UAE는 예멘 내전에서 중국산 드론을 사용했다. 미국이 드론 판매를 거절하자 중국에서 드론을 구입한 것이다.
폴 샤르 신미국안보센터(CNAS) 선임연구원은 “미국의 엄격한 드론 수출 정책이 되레 중국산 드론을 확산시키며 미국의 전략적 이익을 해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정책이 미국과 동맹국의 관계를 해칠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이들 국가의 관계를 돈독하게 만들어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드론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수출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가 드론 수출 절차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WSJ는 보도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