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할머니는 23일 오전 8시 4분 나눔의 집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난 김 할머니는 10대에 부모를 여의고 친척 집에서 생활하다가 17살의 나이로 중국 지린성 훈춘 위안소로 강제동원됐다.
김 할머니는 지난 2007년 2월 마이크 혼다 미국 연방하원이 주체한 미국 의회의 일본군 위안부 청문회에서 “해방 후 38일을 걸어 조국에 돌아왔다”며 “위안소에서 하루 40여 명을 상대했고 죽지 않을 만큼 맞았다”고 증언한 방 있다.
위안부 생활 당시 몇 번 탈출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고 그때마다 구타를 당해 왼쪽 고막이 터져 할머니는 평생 왼쪽 귀가 들리지 않았다. 이에 3년간의 위안부 생활 동안 7차례나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김 할머니는 해방 후 함경북도 성진으로 가 두만강을 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당시 함께 강을 넘던 친구 1명은 강물에 떠내려가 죽는 것을 지켜보기도 했다. 그렇게 죽을 고비 끝에 고향에 돌아와 위안소로 끌려가기 전 결혼을 약속했던 남자와 생활했지만 남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일본 정부로부터 공식 사과와 정당한 배상을 받으면 사회에 기부할 계획이었던 김 할머니는 한국 정부로부터 받은 배상금 등을 모아 아름다운 재단에 1억원, 나눔의 집에 1000만원, 한 천주교 단체에 1억5000만원 등을 기부하기도 했다.
빈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차병원 지하 1층 특실에 차려졌다. 발인은 25일이며 장지는 나눔의 집 추모공원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