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 없는 기업' 제안한 네이버
이해진, 글로벌 투자만 할 뿐 지분율 4%…경영 관여 안해
가족 중 지분있는 사람 없어…일감 몰아주기도 문제 안돼
"해외선 '한국 재벌' 부정적…투자·M&A 장애물 될 것"
공정거래위원회, 9월 초 결정
[ 이승우 기자 ] 네이버는 16일 보도참고 자료를 통해 이해진 창업자(전 이사회 의장)를 ‘기업 총수’(동일인)로 지정하지 말아 달라는 뜻을 거듭 밝혔다. 이 창업자는 앞서 지난 14일 공정거래위원회를 방문해 이런 의견을 직접 전달했다.
네이버와 이 창업자가 기업 총수 지정과 관련해 이처럼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이 창업자가 지분율이 낮아 실질적으로 기업을 지배하지 않는 데다 가족도 회사 경영에 참여하지 않아 공정위의 기업 총수 지정 취지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특히 유럽 등에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발굴에 주력하고 있는 이 창업자가 ‘재벌 총수’의 이미지를 가질 경우 사업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투명한 지배구조 갖춰”
공정위는 내달 1일 자산 5조원 이상인 기업을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지난달 시행된 공정거래법 개정안은 공시대상기업집단을 새로 지정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0조원 이상)이 받는 규제 가운데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와 공시 의무 규제 등을 적용토록 하고 있다.
네이버는 총자산이 5조원 수준이어서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이 유력하며, 이 창업자가 기업 총수로 지정될 가능성도 높다. 공정위에서 이 창업자가 네이버 경영에 실질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사람으로 파악하고 있어서다.
하지만 네이버는 이 창업자가 이사회 결정에 따라 언제든지 물러날 수 있는 위치라고 설명한다. 이 창업자는 지난해 7월 라인의 일본 상장을 기념해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영권이란 일을 열심히 해서 지키는 것이지 돈으로 지분을 사서 할 수 없다”며 “제가 (회사에) 기여를 못하면 제가 떠나거나 회사가 저를 잘라야 한다”는 경영 철학을 밝히기도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사회 의장도 벗어던지고 해외에서 백의종군하고 있는 사람에게 ‘총수’라는 굴레를 씌우는 것”이라며 “시대에 맞지 않는 낡은 기업 관련 제도”라고 항변했다. 이 창업자는 지난 3월 네이버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나 해외 투자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공식 직함은 ‘글로벌 투자 최고책임자(GIO)’다.
◆“해외 투자에 걸림돌 될 것”
이 창업자 지분율은 6월 말 기준 4.64%로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공단(10.61%)의 절반 이하다. 애버딘 애셋매니지먼트(5.04%), 블랙록 펀드 어드바이저(5.03%) 등 외국계 펀드보다 보유량이 적다.
다른 기업과 달리 이 전 의장 가족은 경영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자녀들에게 네이버 경영을 물려줄 생각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관계자는 “공정거래법 취지는 일감 몰아주기, 편법 증여 등 총수 일가의 전횡을 막는 것인데 이 창업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이 창업자가 아니라 네이버 법인을 총수로 정해달라는 것이 회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측은 이 창업자가 기업 총수로 지정됐을 때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유럽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 중인 그에게 재벌 총수라는 꼬리표가 부정적으로 작용해 투자나 인수합병(M&A)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일본에서 라인 상장 심사를 할 때 한국 재벌의 전횡과 불투명한 의사결정 등을 집중적으로 물어 고생한 경험이 있다”며 “앞으로 총수로 지정되면 해외 사업에서 이 같은 부분이 훨씬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