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과 국방부가 특히 강조한 것은 ‘강한 군대’였다. 국방부는 “군을 몸집만 크고 행동이 느린 공룡에서 무서운 표범으로 바꿀 것”이라고 보고했다. 문 대통령은 군 개혁을 주문하며 “강한 군대가 평화를 부른다는 의제를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당연하고도 맞는 방향이다. 평화도 힘이 있어야 지킬 수 있다는 것은 평범한 진리다. 더군다나 북한이 연일 도발 강도를 높이고 있는 엄중한 시기다. 북한이 지난 26일 동해로 쏜 단거리 미사일은 대남(對南) 공격용이다. 북한은 백령도·연평도 점령훈련까지 했다.
국방부가 당초 2023년까지로 돼 있던 ‘3축 체계’ 구축시기를 3년 이상 앞당기기로 한 것은 북핵·미사일 기술이 빠르게 진전되는 데 따른 긴급조치다. ‘3축 체계’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 징후를 보일 경우 선제타격하는 킬체인, 한국형 미사일 방어망, 북 도발에 대한 대량응징보복 등이다.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 국방부는 국방예산 증가율을 종전 연 4%에서 앞으로 8%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국가 안위가 걸린 만큼, 여야의 전향적 자세가 필요하다. 국방부도 예산 낭비 요소는 없는지 면밀하게 살펴봐야 할 것이다. ‘한국군 주도’ 역량을 키우면서 한·미 간 굳건한 방위태세도 유지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우리의 선택은 자명하다. 북한이 도발하면 자멸할 것이라는 인식을 확실하게 심어줄 수 있도록 압도적 국방력을 갖춰야 한다. 국방부의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돼 ‘유능한 안보, 튼튼한 국방’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