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공연예술공간 생기고 경로당은 전통음식 체험공간으로
국토부, 도시재생 사업지원 접수
[ 이해성 기자 ]
25일 찾은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천변좌로 118) ‘청춘발산마을 도시재생 현장’. 고령자가 주로 살던 달동네였지만 2개월여 전부터 이곳에 젊은이들이 방문하기 시작했다. 이곳에선 광주시 등이 국토교통부 현대자동차그룹 등 민관 예산을 토대로 보존형 도시재생 사업(새뜰마을)을 벌였다. 정부가 임기 내 도시재생 사업지 500곳 중 절반 이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주민참여형 ‘우리동네 살리기’의 모델이다.
이곳의 낡고 좁은 단독주택 일부는 청년들이 창업한 식당·카페 등으로 바뀌었다. 회화를 전공한 오지인 씨(24·조선대)는 한 단독주택을 임차한 뒤 카페로 리모델링해 지난달 개업했다. 오씨는 “화실을 겸한 공간으로 쓰고 있다”며 “지원받은 리모델링 자금 1000만원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경로당은 청년들이 전통음식을 체험하는 공간으로 변했다. 소규모 공연예술공간을 조성하는 공사도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이날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8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선정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청춘발산마을과 같이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고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소규모 방식으로 대부분 추진한다는 게 골자다. 지난 7월 밝힌 대로 우리동네살리기(소규모주거), 정비지원형(일반주거), 일반근린형(준주거), 중심시가지형(상업), 경제기반형(산업) 등 5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유형에 따라 국비를 50억~250억원씩 차등 지원하기로 했다.
국토부 등은 다음달 23~25일 지자체 등으로부터 도시재생 사업 지원 신청을 받는다. 연내 시범사업지 70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45곳은 광역지자체가 선정하고 15곳은 기초지자체 신청을 받아 정부가 뽑는다. 나머지 10곳은 공공기관 제안형으로 추진한다. 서류평가 및 현장실사를 거쳐 오는 11월 종합평가를 하고 12월 사업지를 확정하기로 했다.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소규모·상향식 도시재생 모델이 안착할지는 미지수다. 김갑성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낙후된 현장마다 분산식으로 예산을 투입하면 자생력을 갖추기 어렵고 일회성 관광지로 머무는 일이 생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 남구 양림동에 있는 ‘펭귄마을’이 대표적이다. 시계 양은냄비 등 낡은 생활용품 등으로 달동네를 재단장한 이곳은 관광지로 변했다. 그러나 관광객 대부분은 사진만 찍고 발걸음을 돌렸다. 지자체 등의 지원이 본격화되자 원주민 내몰림(젠트리피케이션) 현상도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재생 과정에서 소유주와 임차인 간 상생체계를 구축해 이익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