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회장은 지난 6월 고용노동부가 마련한 ‘2017 사회적 기업 국제포럼’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사회적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 경제 규모를 키워야 한다며 ‘10만 사회적 기업 창업’을 주창했다. 최 회장은 “향후 10년 안에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경제 규모를 GDP의 3% 수준으로 키우고,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 10만 개를 육성하자”며 “이렇게 되면 사회적 기업의 혁신이 우리 사회 전체로 퍼져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7월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의 만남에서는 최 회장이 사회적 기업 얘기를 하면서 ‘전주빵카페’라는 사회적 기업 사례를 꺼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기업의 직원은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24명에 불과하지만 월 매출은 7000만원까지 성장하면서 사회적 기업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SK가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가장 공들이는 제도는 ‘사회성과 인센티브’다. 사회적 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측정해 이에 비례한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다. 참여기업은 2015년 44개에서 1년 만인 지난해 101개로, 이들이 생산한 사회적 가치는 103억원에서 201억원으로 늘었다. 지급된 인센티브도 30억원에서 50억원으로 증가했다.
SK는 작년 말 기준 12개 사회적 기업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2100여 명을 고용하고 다양한 분야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는 또 2012년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해 세계 최초로 KAIST와 공동으로 ‘사회적 기업가 MBA’ 과정도 개설했다. 작년까지 졸업한 37명의 졸업생 중 91%가 창업하고, 22%가 투자 유치에 성공해 청년 창업과 사회적 기업 양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SK는 2012년 3월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적 기업 ‘행복나래’를 직접 출범하기도 했다. 일감 몰아주기와 중소기업 영역 침해 논란을 빚던 소모성 자재구매 대행기업인 ‘MRO코리아’를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함으로써 사회적 기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밝힌 것이다. 행복나래는 수익금 전액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누적 수익금은 94억원에 이른다.
최 회장은 지난 6월 SK가 보유한 유무형 자산을 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인프라’로 만드는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SK는 ‘딥 체인지(deep change·근본적 변화)’를 준비 중”이라며 “공유 인프라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유 인프라를 통해 누구나 사회적 기업을 창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