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대금명인 다룬 '적로'
박칼린 국악쇼 '썬앤문'
'동동' '판' 등 줄줄이 공연
전통공연예술 활력 기대
[ 양병훈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710/2017101869781_AA.14984520.1.jpg)
지난 4일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막을 올린 음악극 ‘꼭두’는 영상과 무대를 넘나들며 진행된다. 오는 22일까지 이어지는 이 공연은 중국 배우 탕웨이 남편으로 잘 알려진 김태용 영화감독이 연출을 맡아 개막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17일까지 객석점유율 87.5%를 기록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전통문화 기반 ‘퓨전 공연’ 잇달아
![](http://img.hankyung.com/photo/201710/2017101869781_AA.14987246.1.jpg)
다음달 3~24일 무대에 오르는 ‘적로’는 기구한 삶을 산 일제강점기 대금 명인 박종기(1879~1941)와 김계선(1891~1943)의 음악세계와 삶을 재조명한다. 두 명인이 절륜의 재주를 타고난 기생 산월을 만나며 겪는 일을 그렸다. 극작가 배삼식이 쓴 극본에 작곡가 최우정이 음악을 입혔다. 현대무용가로 유명한 정영두가 연출을 맡았다. 대금 등 전통음악은 물론 20세기 초 유행한 스윙재즈 등 대중음악까지 풍성하게 선보인다.
다음달 10일부터 오픈런(기간을 정해놓지 않는 것)으로 공연되는 ‘썬앤문’은 화려한 볼거리를 곁들인 대중 공연을 지향한다. 뮤지컬 음악감독 박칼린이 연출한다. 국악기 연주자 11명이 국악뿐만 아니라 록, 팝, 일렉트로닉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들려준다.
◆전통공연 대중화에 기여할까
정동극장은 두 작품을 준비했다. 다음달 9~26일 공연하는 ‘동동’은 현종(고려 8대 왕)이 불교행사 팔관회가 열릴 때 궁궐 밖으로 나들이를 나갔다가 겪는 모험을 그린다. 이 작품에는 양반탈 각시탈 등 전통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제작한 14가지 창작 탈이 등장한다. 국악적 요소를 갖춘 넘버(뮤지컬 삽입곡)와 탈춤을 바탕으로 한 창작 안무를 선보인다.
12월9~31일 무대에 오르는 ‘판’은 조선 후기 이야기꾼 전기수에 대한 얘기다. 양반 호태가 이야기의 매력에 빠져 낮에는 양반으로, 밤에는 전기수로 이중생활하는 스토리를 그렸다.
공연계는 이들 작품의 다양한 ‘실험’이 전통 공연에 활력을 불어넣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해숙 국립국악원장은 “전통 공연도 그 시대 관객의 취향을 반영해 변하게 된다”며 “전통의 전승과 관객 만족이라는 양 날개를 모두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