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들은 알파고 제로가 강한 이유에 대해 “인간 지식의 한계에 더 이상 속박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구글 딥마인드는 “알파고 제로가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통상적이지 않은 전략을 개발하는 한편 새로운 수(手)를 창조했다”고 밝혔다. 허사비스가 “2년 만에 알파고가 얼마나 멀리 왔는지를 보면 놀라울 따름”이라고 할 만큼 AI의 광폭 진화에 과학계와 산업계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싱귤래리티는 2045년께나 도래할 것이라는 게 레이 커즈와일 등 미래학자들의 전망이었다. 알파고 제로를 통해 AI 창의성이 확인된 이상 그 시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그만큼 AI를 둘러싸고 공존하던 기대와 우려를 담은 논쟁도 더욱 가열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AI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나 공포, 두려움은 경계해야 한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신기술이 탄생할 때마다 역기능이 지적되지 않은 적이 없지만, 인류는 신기술의 순기능에 주목하며 혁신의 길을 걸어왔다. 가속화되는 AI 진화에 대해 냉정하고도 긍정적인 접근이 요구되는 이유다.
허사비스는 AI가 인간 직관으로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분야에서 혁신을 이뤄내길 희망했다. 때마침 정부도 ‘혁신성장’을 내걸었다. ‘AI발(發) 패러다임 시프트’가 빨라지는 만큼 정부도 기업도 미래투자를 서둘러야 한다. 일자리와 교육도 과거로부터의 ‘경로의존성’ 탈피가 시급하다. 인재양성의 틀도 바꿔야 한다. AI와 공존하는 사회를 전제로 한 새로운 일자리 정책도 필요하다. 진짜 혁명이 밀려오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