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봉의 내 인생을 바꾼 한마디]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다. -미수기언-

입력 2017-10-23 09:00  

擧 世 非 之 而 無 怨 ?

거 세 비 지 이 무 원 온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다.

- 미수기언 -

▶ 허목(許穆)이 정온(鄭蘊, 1569~1641, 조선 중기 문신)의 행장에서 그의 인품을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덕이 성하던 하나라 때에 우(禹)는 홍수를 막고, 익(益)은 숲과 늪을 태워 짐승들을 몰아냈고, 직(稷)은 곡식을 심었으나 모두 공으로 여기지 않았다. 은나라가 망할 때 기자는 머리를 풀고 미친 척했고, 비간은 심장이 갈라져 죽었고, 백이(伯夷)는 굶어 죽었지만 모두 원망하지 않았다. 그 행한 일은 같지 않으나 그 마음은 하나이다. 군자가 애를 쓰고 행동에 힘써도 도(道)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고 학자가 부지런히 학문을 닦아도 도를 얻은 자가 드물다. (정온) 선생의 도를 가만히 살펴보면 의리가 아니면 어울리지 않고, 도가 아니면 나아가지 않고, 의리를 보면 망설이지 않고, 큰 환란을 당해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절개를 지켜 의리를 취하고 죽더라도 기꺼이 여겼으며, 몸을 깨끗이 하여 은거함에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었다.

우리는 강자와 약자 사이에서 끊임없이 눈치를 보며 산다. 그러니 당연히 내 행동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눈치란 사회생활에서 예절과 배려로 포장되지만 지나치게 보는 눈치는 나를 내가 아닌 누군가를 위한 존재로 살게 한다. 그러니 나로 살고 싶다면 눈치를 덜 봐야 한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해서 행동했다면 눈치 보지 말자. 그렇게 살다 보면 언젠가는 저 옛사람처럼 세상이 모두 내 행동을 손가락질해도 그들을 미워하지 않는 경지에 오르지 않겠는가?

▶ 한마디 속 한자-怨(원) 원망하다,미워하다

▷ 원한(怨恨): 억울하고 원통한 일을 당하여 응어리진 마음.

▷ 수원수구(誰怨誰咎):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