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2년치 '일감 공백' 생겨
"탈원전 탓에 대출 회수 당할 판"
[ 안대규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710/2017102479571_02.10075603.1.jpg)
![](http://img.hankyung.com/photo/201710/2017102479571_AA.15036833.1.jpg)
원전 관련 기자재를 만드는 두산중공업, 효성을 비롯해 원전 건설을 맡아온 현대건설, 삼성건설 등 대기업은 원전 비중을 줄이면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상당수 문 닫을 위기에 있다는 분석이다. 일부 업체는 정부가 유동성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한 업체 사장은 “최근 은행에서 대출금리를 올리겠다고 통보했다”며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은행마저 대출금 회수에 나설 조짐”이라고 지적했다.
수십 년간 쌓아온 기술을 한순간 잃게 돼 중국 등 원전 후발국에 추격당할 것이라는 우려도 많았다. 정부는 원전 핵심 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1년부터 원전계측제어시스템(MMIS) 구축을 국책과제로 선정해 지원해왔다. 원전 설계 핵심 코드와 원자로 냉각재 펌프 등 원전 3대 핵심 기술 국산화에 현재까지 5000억원 넘게 쏟아부은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원전 제어시스템업체인 우리기술의 서상민 전무는 “김대중 정부 때부터 수천억원의 세금을 투입해 핵심 기술을 개발했는데, 정부의 성급한 ‘탈원전 선언’으로 이를 모두 버리게 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