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취임한 마크롱 대통령이 추진 중인 개혁 정책들은 진작부터 세계 각국의 관심을 끌었다. 근 10년째 1%대 저(低)성장률에다 9%를 웃도는 고(高)실업 등 이른바 ‘프랑스병(病)’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산별노조 등 기득권 세력의 거센 저항을 극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었다. 마크롱 대통령은 “노동유연성을 확보하면 고용주들이 투자를 두려워하지 않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는 소신으로 저항을 이겨냈다. 초장기 66%에 달하던 지지율이 30%대로 반토막 나기도 했지만, 뚝심있게 정책을 밀고 나갔다.
마크롱 대통령은 최근 노동개혁 자신감을 바탕으로 세제와 공공 개혁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자산가들과 기업의 해외 이탈을 부추겼던 부유세(연대세)를 축소하고 자본소득누진세는 아예 폐지했다. 33% 수준인 법인세를 2022년까지 25% 수준으로 단계 인하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비대한 공공부문 축소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임기 안에 공무원 12만 명을 줄이겠다는 공약을 내놨던 마크롱 대통령은 내년에 그 첫걸음으로 1600명 감축에 나서고 임금 동결도 추진키로 했다.
마크롱 개혁과 문재인 정부의 정책은 반대 방향인 게 적지 않다. 프랑스는 고용유연성을 높이는 쪽인 반면 우리는 저성과자 해고 등을 위한 양대 지침 폐기에서 보듯 거꾸로다. 공공부문도 마찬가지다. 프랑스는 축소로 가고 있지만, 우리는 2020년까지 20만5000명의 공공기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등 더 키우기로 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