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 서비스 중립성 도마위
이해진 "뉴스는 한성숙 대표가 잘 알아"
의원들 "국민에 대한 자세 아니다" 비판
![](https://img.hankyung.com/photo/201710/201710309005g_01.15088869.1.jpg)
"저는 해외 시장을 잘 알고, 뉴스 서비스는 한성숙 대표가…"(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해외 갔다와서 잘 모르겠다니요, 국민을 대하는 자세가 아니죠."(신상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책임감으로 국감장을 찾았다는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무책임한 답변으로 과방위 의원들의 뭇매를 맞았다.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방위 종합감사는 '이해진 국감'을 방불케 했다. 이날 과방위 국감은 이 GIO외에도 황창규 KT 회장과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고동진 삼성전자 부사장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정보기술(IT) 업계 거물들이 총출동했지만 질문 공세는 이 GIO에게 집중됐다.
특히 최근 불거진 스포츠기사 부당 편집 논란을 비롯해 네이버 뉴스 서비스와 관련된 중립성과 공공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 GIO는 "스포츠 뉴스 문제는 보고를 받아 알고 있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회사도, 저도 부족한 게 많다"며 "네이버가 더 공정한 플랫폼이 돼야한다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뉴스 서비스 개선 방안 등 구체적인 사안을 묻는 질의에는 즉답을 피하거나 애둘러 답했다. 이 GIO는 "뉴스는 한성숙 대표와 사업 책임자가 다루고 있는 부분이라 깊이 알지는 못한다"며 "질문에 대해 가장 답을 잘 할 수 있는 사람은 한 대표"라고 말했다.
국감 준비가 부실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내에 들어온 지 이틀 밖에 안돼 시정안을 찾기까지 시간이 부족했다"며 "한 대표가 근본적으로 해결책을 찾고 있지만 외부 의견도 들어야 해서 급하게 답을 내놓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 GIO는 자신이 기술자 출신인 점, 해외 사업에 매진하고 있는 점을 강조했으나 의원들은 그의 발언을 문제삼아 일침을 가했다. 이 GIO는 "제가 잘 알고 있는 부분은 기술적인 부분이나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 같은 것"이라며 "기술자 출신이다보니 사회적 식견이 부족해 뉴스 서비스 같은 국내 사업은 다른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신 위원장은 "한 대표가 1차적으로 책임을 지겠지만, 이 GIO도 국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며 "해외 갔다와서 잘 모른다는 것은 국민에 대한 자세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은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고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10/201710309005g_01.15088870.1.jpg)
포털 네이버를 언론으로 봐야할 지도 쟁점이 됐다. 네이버가 언론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이 GIO는 "정통적인 언론 기관은 아니지만…"이라며 말끝을 흐렸다. 새로운 언론기관이냐고 반문하자 답을 내놓지 못했다. 민 의원은 "네이버는 모든 언론을 아우르는 왕국이 됐다"며 "언론이냐 아니냐의 문제는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은 "네이버는 이미 언론이다. 포털로서 막강한 힘을 갖고 있고 언론 영향력지수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민들로부터 지금보다 훨씬 더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 위원장도 "네이버는 누구봐도 언론"이라며 "이를 인정하고 기존 언론이 받는 규제를 받던가, 뉴스 서비스 기능을 없애던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 GIO는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영향력이 사회적으로 크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며 "말씀하신 부분도 생각해보겠다"고 답했다.
뉴스 편집 알고리즘 공개에 대한 의견을 묻자 "외부에서 알고리즘이 공격을 받는 것만 막을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는 공개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검색광고 위법과 광고시장 독과점 논란에 대해서는 "네이버는 전세계 검색 엔진 모두가 쓰는 방식을 따라하고 있다"며 "전세계로 보면 구글이 검색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는데, 네이버가 국내에서 70%를 지키고 있는 것을 과점으로 봐야하는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변화 속도가 빠른 인터넷 산업은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 시장점유율을 봐달라"고 당부했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