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정치권은 그동안 퍼주기식 보조금으로 경쟁력 없는 쌀농업을 뒷받침하면서 문제를 키워왔다. 소비 감소로 인해 국내 생산분량만으로도 쌀이 남아도는데도 매년 41만t 가까운 쌀을 의무적으로 수입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상황에서도 쌀 농가 보조금을 늘렸다. 쌀값이 목표가격(80㎏ 기준 18만8000원)에 못 미치면 보전해주는 변동직불금제가 쌀농가 구조조정을 지연시킨 것은 그런 사례의 하나일 뿐이다. 쌀농가는 농업소득의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경작면적당 고정직불금도 매년 받고 있다.
올해 정부의 직접적인 쌀 지원 예산은 직불금과 수급안정자금, 생산기반정비 자금을 포함해 5조6800억원에 달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전체 예산의 39%를 웃돈다. 농가에 대한 보조나 각종 세제 지원 등 간접 지원액은 제외한 수치다. 그럼에도 여전히 쌀농업의 경쟁력은 물론 쌀농민들의 형편도 나아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농업소득은 10.6% 하락한 반면 각종 보조금 등이 포함된 이전소득만 11.1% 증가했다는 통계청 분석도 있다. 쌀농가가 본연의 농업소득이 아니라 정부 보조금에 기대어 연명하고 있다는 얘기다.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농업은 지속될 수 없다. 정부와 정치권은 목소리가 크다거나 표가 중요하다고 해서 매번 더 많은 보조금을 요구하는 농민의 요구에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 농촌과 농업의 경쟁력을 진정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마약 같은 보조금이 아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