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네이버 FARM] 연 매출 40억원… 약콩으로 정선 농가 '돈 걱정' 없앤 간장아저씨

입력 2017-11-30 14:34   수정 2017-11-30 14:52


영농조합법인 ‘동트는 농가’는 강원 정선군 42번 국도변에 있다. 고갯길을 굽이굽이 넘다 보면 정선읍에 낮은 건물 몇 채가 모여있는 곳이 나온다. 이 건물 안 쪽으로 들어서야 농가의 진짜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뒷 쪽으로 산이 감싼 넓은 마당에 1200여 개의 장독이 그림처럼 늘어서 있다. 이 동네 쥐눈이콩(약콩)으로 담은 재래식 된장과 간장, 고추장이 그 안에 있다.

1985년, 정선 농협에 근무하던 청년은 우연히 한 노인으로부터 쥐눈이콩이 몸에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청년은 콩 두 되 반을 구해 지역 농민들에게 재배를 권했다. 고랭지 농가들과 함께 시작한 조합은 32년 뒤 연 4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회사가 됐다. 그 청년이 최동완 동트는 농가 대표다. 장독대가 내려다 보이는 농가 안뜰에서 그를 만났다.


▷장독대 풍경이 아주 멋집니다. 몇개나 됩니까.

“한 1200개 됩니다. 많을 때는 항아리를 1700개까지 했는데 지금은 깨진 것도 있어서 그 정도 될 거예요. 여기가 산지라 서늘하고 물이 좋으니까 장들이 아주 맛있게 발효됩니다. 우리 장은 약콩(쥐눈이콩)과 백태(노란 콩)을 섞어서 만들어요. 다 여기 정선 고랭지 지역 농가들 콩으로 하는 겁니다.”

동트는 농가는 간장 된장 고추장 같은 장류와 이 장으로 끓인 된장찌개 콩탕 청국장 등 간편식을 판다. 정선 고랭지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농가 100여 곳이 멤버다. 조합원들이 직접 농사지은 콩과 고추를 재료로 옛날 방식으로 장을 담근다. 최 대표는 농가가 생산한 콩을 모아 가공, 상품화하는 과정을 총괄한다.

▷몇 개 농가들이 함께 하나요.

“조합원이 농가 102곳입니다. 거의 30년 전부터 쭉 같이 하던 농가들이지요. 그 사이에 돌아가신 분들이나 나이 들어서 농사 못 짓게 되신 분들이 빠져서 수는 조금 줄었어요. 우리는 100% 계약재배 시스템이에요. 직접 농사지은 콩으로 장 담고, 이 장으로 찌개 상품 만들어서 팔고. 그렇게 하니까 우리 농가들은 고생한 만큼 콩 값을 받을 수 있지요.”

정선 토박이인 최 대표는 젊은 시절 농민을 만날 때마다 가슴이 아팠다고 한다. 농작업이 힘든 산악 지대에서 농민들은 고되게 일했지만 벌이는 그에 한참 못 미쳤다. 1년에 300만원의 소득도 못 올리는 농가도 많았다. 젊은 최 대표는 그게 답답했다. '이토록 열심히 일하는데 왜 농민은 가난한 걸까.' 그러던 중 쥐눈이콩을 알게 됐다.


▷쥐눈이콩은 어떻게 알았습니까.

“1985년이었던가. 그 땐 쥐눈이콩이라고도 안 했어요. 약콩이라고 했지. 아무튼 그렇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때예요. 우연히 만난 여든이 넘은 노인이 그 콩을 조금 가지고 있더라고. 그 분이 하시는 말씀이 이게 너무 좋은 콩인데 자기는 힘들어서 농사를 더 못 짓겠다는 거예요. 옛 문헌을 찾아보니 쥐눈이콩에 효능이 참 많아요. 그 노인으로부터 콩 두되 반을 얻어온 게 시작이었습니다.”

정선 농협에서 수매 업무를 했던 최 대표는 그 콩을 몇몇 농민에게 주며 농사를 권했다. 3년이 지나자 콩 두 되 반이 1000가마로 불어났다. 쥐눈이콩의 효능을 잘 알려서 팔면 뭔가 일이 되겠다 싶었다.

▷뭘 하고 싶었던 겁니까.

“그 때 여기 농촌은 정말 다 못 살았거든. 나는 여기서 자라서 농협에서 일했으니까 그걸 잘 알고, 왜 농민들은 다 이렇게 못 살아야 하나 오래 생각했지요. 쥐눈이콩은 어디서도 못 구하는 콩이니까 이걸로 제대로 값을 받아보자고 했어요. 농촌이 꼭 못 살아야 한다는 건 아니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아요.”

▷농가들 사정이 그렇게 어려웠습니까.

“그 때는 농협에서 다 사주고 그럴 때도 아니에요. 내가 농협에서 일할 때 정선 남면에서 농사 짓는 사람이 무를 파는데 한 차에 25만원을 받는대요. 내가 그랬어요. 30만원 줄 테니까 나한테 팔라고. 그러니 저 쪽에서 갑자기 40만원을 부른대요. 그래서 내가 45만원 주겠다고 해봤어요. 결국 저 쪽 중간상에 50만원 받고 팔았는데, 그 중간상은 그걸 600만원에 다시 파는 거예요.”


▷산지에서 제대로 값을 못 받았네요.

“농산물 값이라는 게 그래요. 상황에 따라 오르내림이 너무 심하잖아요. 예를 들면 같은 날 도매 시장에 배추 차가 50대 들어왔다고 쳐요. 첫 차는 50만원 받았는데 나중에 배추가 모자란다 싶으면 마지막 차는 120만원 돼요. 그래서 줄 서는 것도 눈치 싸움이에요. 오늘 배추 들어오는 게 많다고 하면 무조건 처음에 밀어 넣고, 적다고 하면 맨 마지막에 서는 거지요.”
최 대표는 쥐눈이콩을 시중 콩 값의 두 배에 사들이겠다고 약속하고 재배농가를 모집했다. 계약재배 방식으로 꾸준히 콩을 사들이고 여기에 부가가치를 더해 파는 구조를 만드는 게 목표였다.

▷콩을 재배해 어떻게 할 생각이었습니까.

“농가로부터 콩을 사주려면 비싸게 사줘야 하잖아요. 비싸게 사주려면 그냥 콩으로 팔면 안 됐어요. 그러다보니 가공을 해야 되겠고, 콩으로 할 수 있는 가공업을 알아보니 두유랑 장류가 있더라고요. 그런데 두유를 하려면 시설비만 25억원이 든답디다. 그건 도저히 못 하겠더라고요. 장독 값만 들여서 간장부터 시작했어요. 그 다음에 차근차근 된장, 고추장, 청국장을 담갔죠. 콩으로 할 수 있는 건 다 했지요.”

처음부터 장맛을 내기가 쉽지는 않았다. 분명히 좋은 원료만 가지고 정직하게 만들었는데, 사람들은 맛이 없다고 했다. 주변에 장이 맛있다고 소문난 농가들을 찾아다니며 노하우를 배웠다. 배합 과정을 찾는 데만 몇 년이 걸렸다.

▷장맛이란 게 원래 내기 어려운 겁니까.

“옛날 시골에선 다 짜게 담았어요. 그런데 또 요즘 입맛은 그게 아니잖아요. 또 이게 발효시키는 환경에 따라 맛이 천지 차이가 나요. 그만큼 예민해요. 열을 제대로 차단하지 않으면 장이 다 타요. 맛이 없어져요.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옛 장을 새로운 장과 섞으면서 나아지고, 몇 년에 걸쳐 연구하면서 지금까지 온 거지요.”

그렇게 만든 장으로 식당을 열었다. 된장찌개와 청국장이 주력이었다. 인천에서 동해까지 이어지는 42번 국도변에 있는 이 식당을 한 해 5만명이 찾았다. 식사를 하고 된장을 더 사가거나 택배 주문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그렇게 모은 택배 고객이 4000명이나 됐다.

▷단골이 그렇게 많았습니까.

“농가에서 직접 키운 좋은 콩으로 장을 담갔다고 하니까 사람들이 좋아했어요. 식당 안뜰의 장독대를 보니까 더 믿음도 가고요. 또 찌개 같은 것은 시골 어머니들이 다 노하우가 있잖아요. 그래서 우리는 사실 초기 판로는 다른 사람들보다 고민을 덜 했던 것 같아요. 일단 식당에 손님이 굉장히 많았고, 먹고 난 다음엔 더 사갔으니까.”(지금 동트는 농가 식당은 잠시 영업을 쉬고 있다.)

2013년, 동트는 농가는 새로운 도전을 했다. 식당에서 팔던 된장찌개, 콩탕, 청국장을 가정 간편식으로 제품화한 것. 식당에서 팔던 레시피에 물만 더 부어 끓이면 집에서도 비슷한 맛이 나도록 구성했다. 인터넷 쇼핑몰과 홈쇼핑 등을 통해 입소문이 나면서 인기 몰이를 했다.

▷간편식 사업은 왜 시작했습니까.

“사실 그 땐 간편식이란 개념도 제대로 모르고 했어요. 우리 된장찌개를 좀 더 편하게 팔아보자, 해서 시작한 건데 나중에 보니까 그걸 간편식이라고 하더라고. 농가들 농작물 더 사주려면 기존 식당과 직거래 말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생각도 있었고요. 지금은 간편식 매출이 더 많습니다. 이젠 간편식 매출이 80%면 장류 매출이 20%예요.”


▷지금도 장 연구를 계속 하시나요.

“그럼요. 새로운 항아리 실험을 하고 있어요. 나무로 만든 통에 담아 보려고요. 시험용으로 해봤는데 아주 맛이 있어요. 예전엔 전통적인 항아리가 맛이 잘 들었지만 지금은 환경이 크게 달라졌잖아요. 여름에 30도 넘게 올라가는 게 일상이 됐어요. 항아리가 뜨거워지면 수분이 날아가서 장이 발효가 잘 안 돼요. 맛 좋은 장을 만들기 점점 어려운 시대가 됐죠. 환경이 달라졌으면, 방식도 달라져야죠.”

최 대표는 아직도 정선 농가의 농산물을 더 사오지 못하는 게 아쉽다고 했다. 콩은 조합 농가들과 계약 재배하고 있지만 아직 무 배추 양파는 직접 키우지 못하고 있다는 것. 내년부터는 간편식에 들어가는 채소들의 계약 재배를 늘릴 예정이라고 했다.

▷그럼 제품 가격이 올라가는 것 아닌가요.

“그렇죠. 조금 더 받아야죠. 결국 농가에 다 돌아가야 하는 부분이잖아요. 대신 직접 관리하면서 재배하면 상품 품질은 더 올라갈 거예요. 제 마음은 더 못 사주는 게 미안하죠. 이 동네에서 키우는 더덕과 산나물 상품도 생각 중이에요. 정선의 고들빼기, 달래 이런 작물들이 아주 좋거든요.”

▷계약 재배를 늘리면 농가 관리가 어려워지지 않습니까.

“제가 30년 동안 해온 게 그 일이지요. 저 집은 사주고, 이 집은 안 사주면 불만이 생기거든요. 그런데 우리는 품질이 담보가 돼야 하니까 요구해야 할 것들이 있고요. 지금은 이렇게 쉽게 말하지만 참 이러저러한 일이 많았지요. 순간 순간 슬기롭게 이겨냈어야 했던 부분이에요. 농사짓는 분들이 다 자기 고집이 있거든요. 여럿이 가서 설득하고 부탁해도 안 될 때가 많아요. 농사일이라는 게 기존에 해왔던 방식을 확 바꾸는 게 힘들어요. 그래서 비료를 주지 말라고 하는데 몰래 주는 곳도 있고.”


▷그럴 땐 어떻게 하나요.

“우선 다 산 다음에 그 집에서 샀던 건 눈 앞에서 폐기하고 그랬어요. 보여주는 거지요. 그러면 소문이 나고 '아, 이렇게 하면 안되는구나. 이런 건 맞춰줘야 하는구나' 하고 농가도 알아요.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내가 많이 양보하고, 최대한 농가 소득 챙겨주려고 노력하고. 30년 신뢰가 그렇게 쌓인 거지요. ”

▷농민들이 잘 살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콩을 100가마 생산한다고 치면 한 가마 당 1만원 씩만 차이가 나도 농가 입장에서는 100만원이거든요. 그렇게 제 값을 받는 게 중요해요. 현실적으로 농민 입장에서는 스스로 뭘 더 하기가 힘든 것 같고요. 우리 동트는 농가 같은 곳들이 각 지역마다 하나 씩만 있어도 좋을 텐데요.”

▷동트는 농가 농민들은 잘 살게 됐나요.

“계약 재배를 하면 그대로 안정적인 판로가 생기는 거니까요. 또 우리는 농한기에도 쉬지 않고 일자리를 만들잖아요. 장을 직접 담그니까요. 올해는 이 동네 사람 60명이 와서 장을 함께 만들었어요. 농사 외에 부가 소득이 생긴 거지요. 이 동네 사람들은 농부라고 못 살지 않아요.”

정선=FARM 고은이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131380479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한경닷컴, 기업 대상 '2018년 환율전망 및 금리전망 세미나' 오는 12월 12일 KDB산업은행과 공동 주최!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