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서 일정 조율할 수도
기업들 "주총 방해하는 주총꾼 대처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 김우섭/강영연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712/2017122024611_AA.15497683.1.jpg)
◆“조기 개최 기업에 인센티브”
최종구 금융위원장(사진)은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열린 전자투표·전자위임장 모바일서비스 시작 기념식 축사에서 “한꺼번에 많은 상장사가 주총을 여는 ‘슈퍼 주총데이’는 하루빨리 시정해야 할 관행”이라며 “내년부터 상장사들의 분산 개최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특정일에 주총을 여는 기업이 지나치게 많다”고 지적했다.
예탁원에 따르면 지난 3월24일 주총을 연 상장사가 924곳으로 전체 12월 결산 법인(2070개)의 44.6%에 달했다. 특정 3일 동안 주총을 연 기업 비율도 73.0%(2014년 기준)로 높았다. 같은 기간 영국이 6.4%, 미국이 10.3%에 그친 것과 비교된다. 한국처럼 특정일에 주총이 몰려 있다고 알려진 일본도 48.5% 수준이다. 최 위원장은 “지난 18년 동안 2월에 주총을 열고 있는 넥센타이어가 모범적 사례”라며 “제도적 측면보다는 주총을 대하는 기업의 인식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고 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12/2017122024611_AA.15500179.1.jpg)
◆‘주총꾼’ 난립 우려도
![](http://img.hankyung.com/photo/201712/2017122024611_AA.15500178.1.jpg)
대만 금융감독위(FSC)는 2010년 11월부터 하루 최대 200개 기업만 주총을 열 수 있도록 제한했다. 2015년부터는 100개로 줄였다. 기준은 선착순이다. 각 기업은 주총을 앞두고 희망 날짜를 하나 정해 온라인을 통해 신청한다. 특정 날짜에 주총을 신청한 기업이 100곳을 넘었으면 다른 날짜를 2개 더 내야 한다.
한국거래소가 사전에 주총 신청을 받은 뒤 신청 기업이 많은 날엔 추첨으로 주총 개최 기업을 정하자는 아이디어도 나왔다.
정부가 주총 분산 개최 방안을 내놓기로 한 이유는 소액주주들의 주총 참여를 늘리기 위해서다. 올해 말 섀도보팅 폐지가 확정된 가운데 주총에서 의결권 정족수 미달로 감사위원회를 구성하지 못하는 등의 부작용을 막겠다는 의도도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정부가 규제하기보다는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주총 날짜를 정하는 게 낫다”며 “추후 논의를 통해 슈퍼 주총데이 관행 개선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장 기업들은 주총 분산 개최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부작용을 우려했다. 코스닥 상장 기업 관계자는 “주총을 몰아서 하는 이유 중 하나가 상습적으로 주총을 방해하거나 금품을 요구하는 ‘주총꾼’ 때문”이라며 “이들이 활개를 칠 수 있는 만큼 부작용에 대한 대책도 함께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우섭/강영연 기자 duter@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