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대통령 일정에서)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이 참석하는 청와대 행사와 통합했다”고 설명하지만, 재계가 아쉬워하는 이유를 진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문재인 정부 7개월여 동안의 ‘친(親)노조’ 행보를 돌아보면 재계의 걱정이 근거 없는 게 아니다.
기업인을 비롯한 경제계 인사들과 대통령의 자연스런 만남은 많을수록 좋다.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도 그렇고, 청와대가 강조해온 소통 강화 차원에서도 그렇다. 더구나 현 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자임하고 있다. 정부 출범 직후 일자리위원회부터 만들어 대통령 스스로 위원장도 겸했다.
이 위원회의 지향점이 ‘일자리를 늘리고, 고용의 질은 높인다’다. 이 일을 누가 실행하나. 바로 기업이다. 특히 청년들 눈높이에 맞는 ‘지속가능하고 버젓한 일자리’는 주로 대기업에서 나온다. 대통령과 기업인들 만남이 ‘소통 강화→투자 확대→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예상은 자연스런 일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국정과제 회의 때마다 게이단렌 회장 등 기업 CEO를 참석하게 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업 인사를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에 임명했으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경제·경영단체장들과 일대일 면담을 한 것도 결국은 그런 의도일 것이다.
대통령이 재계와 거리를 두면 청와대 참모와 기업인들의 의견 교환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와대와 재계의 만남은 잦을수록 좋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