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화재 사고 때의 위험 요인도 그대로였다. 건물 주변 불법 주차 차량들 탓에 소방차 진입이 늦어졌다. 화재에 취약하고 유독가스를 내뿜는 드라이비트 마감 외벽이 인명 피해를 키우고 건물을 통째로 태우는 불쏘시개가 됐다는 얘기는 귀에 익은 지적이다. 세월호 참사를 겪고도 우리 사회의 안전 의식과 시스템은 달라진 게 거의 없다.
잊을 만하면 일어나는 스포츠센터 등 다중이용시설 화재는 이처럼 인재(人災)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다. 주변에 허술한 안전 규정은 없는지, 보완해야 할 소방 설비는 없는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안전을 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은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사회가 마땅히 부담해야 할 투자라는 인식이 중요하다.
화재에 취약한 건축물은 전수조사를 통해 안전대책을 다시 세우는 것도 필요하다. 도심에 산재한 도시형 생활주택과 고시원은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 인명 피해가 우려된다. 2015년 말 소방법이 강화되기 이전에 대거 지어진 이들 건축물은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값싼 마감재로 건축된 경우가 많다. 사업주가 영세해 소방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아 ‘화재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2016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약 1만5000개 단지에 이른다. 고시원도 약 1만2000곳이나 된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들 건축물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필요하다면 소방시설을 보완하도록 장기저리 자금의 지원과 알선 등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대형사고 때마다 되풀이되는 일회성 정책이 아니라, 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