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특사는 전체 대상자 6444명 중 일반 형사범이 99%를 차지하는 등 형사처벌이나 행정제재로 생계에 애로를 겪는 서민 부담을 더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운전면허 취소·정지·벌점에 대한 특별감면 조치로 165만명에게 혜택을 준 점도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서민 생계형 사범에 대한 사면 취지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반부패 범죄 사범과 시장교란 행위자는 이번 사면에서 제외됐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뇌물·알선수재·알선수뢰·배임·횡령을 5대 중대 부패범죄로 규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범죄자에 대한 사면권을 제한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주가조작 등 시장교란 행위에 대한 사면권 역시 행사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 원칙이 이번 특사에 그대로 반영됐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경제인은 물론 이번 사면의 최대 관심사였던 한명숙 전 총리와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 이를 방증한다.
특히 한 전 총리와 이 전 지사는 문 대통령 입장에서 사면을 할 수 있다는 시중의 관측이 적지 않았지만,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제외했다.
두 사람에게 적용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가 비록 5대 부패범죄에 포함되지 않지만, 그 연장선에서 돈과 관련된 범죄라는 점에서 사면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서민 생계형 사범에 대한 사면을 큰 틀 속에서 문 대통령이 세운 두 가지 배제 원칙 외에도 공안·노동·선거사범은 원칙적으로 이번 사면 대상에서 빠졌다.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이번 사면에서 빠진 이유이기도 하다. 그를 사면 시켰을 경우 문재인 정부의 최대 과제 중 하나인 노사정 대타협에 한발 짝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문 대통령은 원칙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기준과 원칙을 지키는 게 사회통합과 국가 운영에 훨씬 더 많은 가치를 가진다고 대통령이 판단하지 않았겠냐"며 "사회적 대타협을 위한 노력은 그게 아니라도 진심을 갖고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712/2017122983527_01.15549699.3.jpg)
이런 가운데 당초 정치인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정봉주 전 의원이 사면 대상에 포함됐다.
정 전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당선된 2007년 17대 대선 당시 이 전 대통령의 BBK 실소유주 의혹을 제기했다가 선거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동시에 2022년까지 피선권을 박탈당했다.
선거사범이지만 17대 대선 당시의 선거사범이 2011년에 사면된 반면 정 전 의원은 배제돼 형평성 차원에서 포함됐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동시에 정 전 의원이 만기 출소한 뒤 5년 이상이 지났고, 그 사이 각각 두 차례의 대선·총선·지방선거 때 정치인으로서 피선거권을 제한받은 점도 고려됐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