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감고 연습하면 퍼팅감 살아나
[ 이관우 기자 ] “퍼팅만큼 심리 상태에 민감한 게 없어요. 첫째도, 둘째도 자신감이죠.”
퍼팅 입스로 오래 고생한 탓인지 권지람은 ‘퍼팅 연구가’가 된 듯했다. 그가 가장 강조하는 것은 잘하든 못하든 자신을 믿고 과감하게 스트로크하라는 것. 권지람은 “머릿속에서 퍼팅 라인이 맞을지 틀릴지 의심하는 상황에서 퍼팅하면 죽도 밥도 안 되는 경우가 많다”며 “공이 굴러갈 궤도를 한 번 정했으면 끝까지 밀어붙여야 한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1/2018010732981_01.15612611.1.jpg)
스위트 스폿도 중요하다. 퍼터 페이스의 정중앙에 잘 맞혀야 방향이 틀어지지 않아서다. 특히 짧은 퍼팅에서 스위트 스폿의 중요성은 더 커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짧은 퍼팅을 할 때 저는 스트로크를 짧게 하고 강하게 때립니다. 백스트로크를 길게 하면 다운스트로크 때 흔들림이 커져서 스위트 스폿에 맞지 않고 방향이 틀어질 수 있어요.” 약간 때리듯 퍼트하는 것은 짧은 백스트로크 때문에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직진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다.
퍼팅감이 뚝 떨어진 아마추어라면 눈을 감고 퍼팅 연습을 해보라는 게 그의 조언이다. 눈을 감으면 온전히 손가락 감각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퍼팅감을 빨리 되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LPGA 투어 장타여왕 렉시 톰슨(미국)도 한때 퍼팅감을 찾기 위해 실전에서 눈을 감고 퍼팅했다. 눈을 감으면 공을 보기 위해 머리가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문제도 고칠 수 있다. 권지람은 “감각을 찾은 뒤에는 눈을 뜨고 하는 퍼팅으로 돌아오면 된다”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6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