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오는 빛을 분석하면 우주가 팽창중임을 알죠"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2/2018020948721_AA.15897523.1.jpg)
1948년 가모프와 랄프가 발표한 논문 ‘화학 원소의 기원’은 빅뱅 이론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이 됐 다. 두 학자는 빅뱅의 첫 번째 증거로 이렇게 말했다. “빅뱅 후 1초 정도 시간이 흐르면 우주의 온도가 100 억 도 정도로 낮아지면서 수소가 헬륨으로 융합을 시작한다. 그러나 빅뱅 후 3분 정도 시간이 지나면서 온도가 더 낮아져 더 이상 수소가 헬륨으로 융합을 할 수 없게 되며, 이때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는 3 대 1 이다.” 현재 우주에서 측정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도 이와 같다.
우주 온도에 따라 원소 융합 나타나
태양처럼 빛을 내는 물체는 사람의 지문처럼 특유의 선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이를 분석하면 구성 원소를 알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별 빛의 선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대부분이 수소와 헬륨임을 알 수 있다.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인 허블은 “팽창하고 있는 우주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은하의 후퇴 속도는 허블상수와 은하 사이의 거리를 곱하면 구할 수 있다”는 허블의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가 팽창한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이것은 빅뱅 이론의 두 번째 증거가 됐다. 은하의 후퇴 속도는 적색편이로 구할 수 있다. 적색편이는 ‘빛의 도플러 효과’ 때문에 생긴다. 도플러 효과는 광원이 멀어지면 관찰되는 빛의 진동수가 작아진다는 것이다. 진동수가 작아지면 파장은 길어진다. 파장이 길어지면 빨간색 영역의 빛을 방출하게 되며 이를 적색편이라 한다.
빅뱅 후 남은 복사를 측정
러시아의 가모프는 우주 초기에 온도가 매우 높았다면 대폭발로부터 광자의 형태로 방출된 복사의 일부가 남았을 것이라고 우주배경복사의 존재를 예언했다. 1964년 벨 연구소의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4080㎒(파장 7.35㎝) 대역에서 들려오는 초단파 잡음이 우주에서 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1989년 미 항공우주국 NASA가 발사한 코비위성은 우주배경복사의 전체적인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우주배경복사(Cosmic background radiation)는 빅뱅 초기에 방출된 빛이 식어 우주에 남아 있는 파장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절대온도 2.7K(캘빈, -270.3도)의 물체에서 방출되는 파장과 일치하며,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거의 균일하게 관측됐다. 이는 빅뱅 이후 3000K(2727도)에서 빛이 우주 공간으로 균일하게 퍼져나가 2.7K(-270.3도)로 식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우주배경복사의 발견은 빅뱅 이론을 증명하는 가장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이론과 지식을 토대로 과학 교과서에서 밝히는 우주 탄생과 원자의 진화 과정은 빅뱅 이후 약 10의 마이너스10승 초 때의 온도는 1027도로 매우 높은 온도 때문에 핵조차 존재할 수 없었고 전자, 쿼크, 빛과 같은 기본 입자들이 생성됐다. 10의 마이너스5승 초 후에는 온도가 약 2조 도이며 기본 입자들 중 업 쿼크와 다운 쿼크가 결합해 양성자와 중성자가 생성됐다. 빅뱅 3분 이후에는 우주의 온도가 수백만 도까지 낮아져 양성자와 중성자가 섞여 중수소, 삼중수소, 헬륨 원자핵이 생성됐다. 약 30만 년이 지나면서 우주의 온도는 약 3000도로 낮아졌으며 사방에 흩어졌던 미세입자인 전자들이 원자핵에 결합돼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인 수소(H), 헬륨(He) 등의 원소들이 생성됐다. 이후 우주의 온도는 계속 낮아져 핵융합을 할 수 있는 온도 아래로 낮아지면서 베릴륨(Be)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만들어질 수 없었다. 그로부터 수십만 년 동안 우주는 계속 팽창하면서 온도도 많이 낮아졌다.
핵융합으로 만들어진 철
![](http://img.hankyung.com/photo/201802/2018020948721_01.15803649.1.jpg)
우리는 물질에서 방출되는 빛을 활용해 중요한 정보를 얻는 과정을 스펙트럼을 통해 살펴봤다. 다음 시간에는 빅뱅 이후 진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원자들의 규칙적 성질에 대해 살펴보면서 통합과학의 성취기준이 요구하는 두 번째 과제에 도전해보자.
◆통합과학 성취기준 1
지구와 생명체를 비롯한 우주의 구성 원소들이 우주 초기부터의 진화과정을 거쳐 형성됨을 물질 에서 방출되는 빛을 활용하여 추론할 수 있다.
강신종 < 용화여고 교사 >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7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