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한 정제형으로 복용 편리하고 복합제 개발 가능해져
글로벌 제약사 통한 해외 진출 추진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3/201803126266f_01.16186616.1.jpg)
탈모·전립선비대증 치료제인 '두타스테리드'가 말랑말랑한 연질캡슐 형태에서 딱딱한 알약으로 개발됐다.
JW중외제약은 국내 최초로 정제형 두타스테리드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존 연질캡슐과 동일한 속도로 체내에 흡수되도록 만든 것으로 JW중외제약 제제원료연구센터가 보유한 기반기술인 난용성 약물전달시스템 SMEDDS(Self micro 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이 적용됐다. 이 기술은 잘 녹지 않는 성질을 지닌 약물을 가용화해 체내 흡수를 빠르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질캡슐을 알약으로 만드는 이유는 보관과 복용 편리성 때문이다. 연질캡슐은 온도나 습도, 외부 충격에 따라 젤라틴 막으로 감싼 피막이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유출될 우려가 있다. 또 복용시 입안, 식도에 잘 달라붙어 불편하다.
정제형은 다른 약물과 복합제로 개발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최근 전립선비대증의 1차 치료제인 알파차단제와 두타스테리드의 병용 처방이 늘고 있어 복합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지난해 9월 두타스테리드 정제의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다국적제약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는 올 하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이상준 JW홀딩스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이번에 개발한 두타스테리드 정제 제형은 단기간에 상용화가 가능하며 캡슐 제형에 비교할 때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유리한 점을 갖고 있다”며 “고온다습한 기후의 국가에서 정제 제형의 수요가 높은 만큼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타스테리드는 남성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생성에 관여하는 '5알파-환원효소' 1,2형 억제제로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배뇨장애 개선과 소변을 볼 수 없는 급성요폐증상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탈모를 막는 역할을 한다.
IMS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두타스테리드(알파차단제와의 복합제 포함)의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1조400억원에 달한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