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직접 상환부담을 지는 국채와 지방채 등을 포함하는 국가채무(D1)는 660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고다. 국가채무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38.6%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국가부채가 증가한 이유로 공무원·군인연금 충당부채와 함께 국채 발행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앞으로를 더 걱정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하반기 채용된 공무원들은 근무기간이 1년 미만이라 지금까지는 연금 충당부채가 없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부채로 잡아야 한다. 정부가 2021년까지 공무원 17만4000명을 추가로 뽑기로 한 마당이라 국가부채는 가만히 있어도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세수(稅收)가 호조를 보였음에도 국가채무가 늘어났다는 점도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세수 호조세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알 수 없는데도 복지 및 일자리 예산 지출은 걷잡을 수 없이 늘고 있다. 3% 성장률 시대에 7% 예산지출 증가율이라면 국가부채 증가는 피할 수 없다.
국가부채는 결국 자식·손주 세대의 부담으로 돌아간다. 정부·여당은 물론 야당도 포퓰리즘(대중 인기 영합주의)에 빠져 ‘눈덩이 국가부채’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 재정건전화는 정파적 이해를 뛰어넘어 정치의 기본이 돼야 한다. 모든 정책을 입안할 때 재원확보 방안부터 따져보는 ‘페이고(pay-go)원칙’은 재정건전화의 출발점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