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정시모집 늘려달라" 요청
대입정책 오락가락… 수험생 혼란
[ 구은서 기자 ]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이 전체 모집정원의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대학에서 최근 4년 동안 학종 선발 인원이 2000명 넘게 늘었다. 학종의 공정성에 의구심을 표시하는 학생과 학부모가 많은 탓에 일선 교육현장의 불만과 혼란이 커지는 양상이다.
1일 교육부가 올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전형 유형별 모집인원을 분석한 결과 이들 학교의 2019학년도 학종 모집인원은 6455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모집인원(1만1133명)의 58.0%다. 2015학년도에 4356명을 학종으로 뽑은 것과 비교하면 2000명 넘게 늘어난 규모다. 전체 전형에서 학종이 차지하는 비중도 38.9%에서 58.0%로 19.1%포인트 급증했다.
반면 수능을 통한 선발은 5명 중 1명에 그쳤다. 수능전형 모집비율은 같은 기간 24.9%에서 19.4%로 5.5%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2017학년도 18%에 그친 고려대의 학종 비중은 2018학년도에 63.9%로 치솟았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조치라는 게 고려대의 설명이지만 학종 선발 비중이 1년 만에 세 배 이상 높아지면서 학교 일선에 큰 혼란을 불렀다. 고려대 외에 동국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 8개 대학에서 학종 비중이 10%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연세대는 이날 발표한 ‘2020학년도 입학전형 시행계획안’에서 “학종과 정시 비중을 모두 늘리는 대신 논술전형 모집인원을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학종 비중의 증가는 지난해부터 외국어 영역에 절대평가가 도입되는 등 수능의 변별력 하락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한 교육업체 관계자는 “상위권 학생을 가려내기 위해서는 학교생활기록부와 내신, 수능 최저등급을 통해 지원자의 실력을 종합 평가하는 학종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수능 변별력 못지않게 학생부에 대한 신뢰도 역시 바닥인 탓에 교육정책이 길을 잃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권에 따라 선발우선 순위가 달라지면서 대학 입학이 운과 정보에 좌우되는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소논문 쓰기 등 학생부에 각종 활동을 적어 넣느라 학종이 오히려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비판도 높다.
학종 비중이 급증하자 당황한 교육부는 완급 조절에 나섰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최근 서울 주요 10여 개 대학에 “정시 모집 인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대학들도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교육부는 학종 확대를 주문해왔기 때문이다. 한 사립대 입학처 관계자는 “대학은 정부의 재정 지원사업에 목매고 있는 만큼 정권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교육부가 갈팡질팡하면서 결과적으로 학부모와 학생 혼란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