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보광초 이전비 전가 의도…학교 이전 백지화 추진할 것"
사업 적어도 6개월 지연 불가피
[ 최진석/선한결 기자 ]

서울 용산구 한남뉴타운 2구역이 교육환경영향평가 심의에서 예상치 못한 걸림돌을 만났다. 서울교육청이 지난 4일 구역 내 교육시설인 보광초교 이전에 재검토 의견을 내서다. 조합은 이를 학교 이전에 필요한 비용 200억여원을 모두 부담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조합은 애초 40억원만 부담하기로 했다. 조합이 보광초 이전 계획을 백지화하겠다고 맞서고 있어 사업 일정 지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교육환경영향평가 통과 불발
서울교육청은 지난달 26일 한남2구역의 교육환경영향평가 심의위원회를 열었다. 구역 내 보광초 이전이 주요 안건이었다. 심의위원회는 “학교 설립 예정지 도로변에 설치되는 높이 15m의 방음벽이 학생들 정서에 좋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니 수목 식재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재검토’ 결론을 내렸다. 조합은 이 결과를 4일 통보받았다.

보광초는 1962년 설립됐다.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아 2014년 보강공사를 했다. 현재는 재난위험시설 바로 윗등급인 C등급이다. 인근에 각종 유흥주점과 음식점 등이 밀집해 있어 교육환경이 좋지 않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사업 6개월 이상 지연 불가피
교육환경영향평가 재검토 결정으로 사업은 늦어지게 됐다. 조합 관계자는 “재정비촉진계획을 변경하면서 6개월이 걸렸는데 이번 재검토 결정으로 또다시 6개월의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교육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지 못하면 후속인 사업시행인가 단계로 나아갈 수 없다.
서울교육청과 조합의 대립이 장기화하면 사업은 더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한남2구역조합은 5일 용산구청에 교육영향평가 심의신청 취하 공문을 제출했다. 학교를 이전하지 않으면 교육영향평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조합 관계자는 “중부교육청 용산구청과 협의해 수립한 계획이 승인받지 못했다면 각종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학교 이전을 추진할 이유가 없다”며 “재개발 구역에서 보광초를 뺀 뒤 개발을 진행하는 재정비촉진계획을 재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업이 6개월 정도 늦어지겠지만 200억원을 모두 부담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덧붙였다.
한남뉴타운은 용산구 한남동 일대 약 111만㎡를 재개발하는 사업이다. 다섯 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이 중 2구역은 보광동 264 일대 16만2321㎡ 규모의 지역이다. 북쪽으로는 이태원 상권, 서쪽으로는 앤티크가구거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태원관광특구 3만4438㎡는 서울시 가이드라인에 따라 구역에서 빠졌고, 특구와 인접한 보광초는 한남2구역 중심지로 이전을 추진해왔다.
최진석/선한결 기자 iskra@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