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성미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4/2018041237361_AA.16455476.1.jpg)
197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 사람들에겐 특별한 날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었다.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몇 년 전에도 “인민들이 쌀밥에 고깃국을 먹도록 해주겠다”는 거창한 약속을 내걸기도 했다. 특히 소고기는 예부터 비싸고 귀한 음식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조선, 소고기 맛에 빠지다》의 저자 김동진 박사(전 한국생태환경사학회장)는 그러나 “조선시대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 중 하나가 소고기였고 1인당 섭취량은 20세기 말 한국인보다 더 많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자는 각종 사료를 뒤져 조선시대에 매우 인기 있는 음식이던 소고기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04/2018041237361_AA.16454331.1.jpg)
동시에 소는 탐식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정부에서는 수시로 우금령(牛禁令)을 내려 소 도살을 엄격히 단속했지만 양반 사대부는 물론 일반 백성의 ‘소고기 사랑’은 그칠 줄 몰랐다. 인구가 1500만 명밖에 안 되던 17세기 후반 조선인은 하루 평균 1000여 마리의 소를 도살했다. 소고기는 ‘뇌물성 접대’에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음식이었다.
조선시대 소를 먹는 다양한 방법은 지금의 요리법을 능가한다. 소고기를 일상 음식으로 먹자고 제안한 첫 번째 국왕은 연산군이었다. 그는 간과 콩팥을 먹고, 우심적이라 불리는 심장을 구워 먹거나 육즙을 내 먹었다. 조선 사람들이 고안한 고기 말리는 법, 상한 고기의 맛을 돌려 놓는 법, 질긴 소고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법 등은 지금도 사용해볼 만하다. 저자는 “대부분 조선시대 사람들은 못 먹고 굶주렸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통설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일제 강점기의 과학기술로도 해내지 못한 것을 이미 조선시대 사람들은 누리고 있었다”고 강조한다. (위즈덤하우스, 264쪽, 1만5000원)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