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식 코레일 사장은 취임식에서 “SR과의 통합은 공공성 강화와 국민편익 증진이라는 관점에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통합을 공식화했을 정도다. 코레일 측은 그동안 “SRT 운행으로 KTX 승객이 감소해 코레일의 경영이 악화되고 있다”며 “그 결과 새마을·무궁화 호 등 일반 열차 운행이 어렵게 되는 등 공공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런 코레일의 주장을 정부가 그대로 수용한 셈이다.
하지만 무엇이 철도의 공공성인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 2016년 말 출범한 SRT는 국내에 처음으로 철도 경쟁시대를 열었다. KTX보다 평균 10% 싼 요금 덕분에 그간 이용객이 아낀 요금만도 700억원이 넘는다. SR은 앱으로 승무원을 호출하는 등 앞선 서비스를 선보이며 KTX를 긴장시켰다. KTX가 마일리지를 부활하고 셔틀버스 운행 등 서비스 개선에 나선 것은 모두 SRT가 가져온 이른바 ‘메기 효과’였다. SRT 영업수익의 50%를 선로 사용료로 받는 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국가 철도 부채의 이자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경쟁을 통해 요금은 내려가고 서비스가 향상됐다면 그것이야말로 공공성이 개선된 것이다. 철도공단의 영업 개선 역시 공공성 강화로 평가할 수 있다. 철도의 공공성은 국민의 편익이 얼마나 증대됐느냐로 평가해야 마땅하다. 코레일의 단기적 경영 악화 여부가 공공성의 잣대가 될 수 없음은 너무도 자명하다. 그런데도 정부는 오랜 논의와 진통 끝에 도입한 경쟁시스템을 하루아침에 다시 독점 ‘철밥통’ 시절로 되돌리려 하고 있다. 도대체 누굴 위한 공공성이란 말인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