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비정규직 정규직화 등 일련의 친(親)노동정책을 추진해 역대 어느 정권보다 노동계 지지가 단단하다. 게다가 대통령 개헌안에 담으려던 공무원 노동3권 보장, 단체행동권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등을 정책·제도화하겠다는 의지도 분명히 했다. 노동계로선 나아지면 나아졌지 나빠질 게 없는 셈이다.
하지만 일자리 없는 노동 존중 사회는 존재할 수 없다. ‘일자리 정부’가 먼저 챙겨야 할 것은 노동시장 바깥에서 배회하며 눈물짓고 있는 노동약자들이지, 공무원 노동3권 같은 것들이 아니다. 일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이들에게 노동권 강화 정책은 ‘그림의 떡’일 뿐이다. 미국 일본에선 유례없는 일자리 풍년인데, 한국은 3월 실업자수가 125만 명에 이르고, 청년실업률은 11. 6%(체감실업률 24.0%)로 2년 만에 최고치다. 구조적 침체로 ‘고용 절벽’이 더욱 깊어지는 형국이다.
지난 1년간 밀어붙인 고용·노동정책마다 노동시장 진입장벽을 높이는 부작용을 낳은 데 대해 심각한 성찰이 필요하다. 최저임금 급등이 저임금·비숙련 인력의 고용감소를 초래했듯이, 근로시간의 인위적 단축은 노동약자들에게 또 다른 고통을 줄 게 뻔하다. 반면에 득을 보는 것은 강력한 조직력을 갖춘 공공부문과 대기업의 기득권 노조들이다. 심지어 공휴일에 근로자들이 쉬는 것조차 양극화하고 있다.
게다가 지금 근로자의 노동3권이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처럼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오히려 한국만큼 노조의 파업권이 강력한 나라도 없다. 문 대통령도 언급했듯이 저출산, 고령화, 청년실업, 양극화도 결국 핵심은 일자리 문제다. 사회 구성원 간의 양보와 타협만이 해법이다. 노동 존중이 ‘노동계 존중’이어선 곤란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