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DA '라모트리진 위험' 경고
피부발진 등 증상땐 투약 중지해야
무균 수막염 유발 등 부작용 주의
[ 전예진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2018050420081_AA.16635574.1.jpg)
HLH는 활성화된 림프구와 대식세포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증식해 심각한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발열과 발진, 혈구감소증, 자연살해세포(NK세포) 활성도 저하 또는 결핍 등이 나타나면 HLH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HLH를 신속하게 인지해 조기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해당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라고 당부했습니다. 국내에 허가된 라모트리진 성분 제제는 GSK의 라믹탈(사진) 등 20개 품목(7개 업체)입니다. 2016년 기준 약 80억원어치가 생산·수입됐습니다.
라모트리진은 발열, 발진 외에 수막염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1994년 12월부터 15년간 FDA에 보고된 약물 유해반응에서 소아와 성인 환자에게 총 40건의 무균성 수막염을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두통, 오심, 구토, 발진, 광선혐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었고 35%의 환자는 입원을 요하는 상태였습니다. 대다수 환자가 라모트리진을 중단했을 때 증상이 해결됐는데 그후 다시 라모트리진을 복용했을 때 더 심각한 증상을 보였습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05/2018050420081_AA.16637130.1.jpg)
ace@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