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에 대해 순환출자를 금지하면서, 지주회사법을 만들어 지배구조 개편을 유도해왔다. 지배구조 개편의 목표는 대주주의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경영진과 이사회 및 주주 간 관계를 최적화함으로써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그 형태가 꼭 지주회사일 필요는 없다. 1999년부터 기업지배구조 원칙을 공표해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지배구조에 정답은 없다”고 했다.
그런 면에서 김 위원장의 발언은 너무 앞서나갔다는 비판을 받을 소지가 있다. 학자로서 특정 지배구조가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나 제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 책임자의 발언은 무게가 다르다. 더구나 자기 주장이 마치 정답인 양 얘기하는 것은 기업에 큰 압박으로 작용한다. 만일 해당 기업이 김 위원장의 말에 따라 지배구조를 바꿨다가 부작용이 생긴다면 책임질 수 있는가.
김 위원장이 이날 “지배주주 일가는 가능하면 그룹의 주력회사 주식만 보유하고 비주력·비상장사 주식은 보유하지 않는 방향으로 노력해 줬으면 좋겠다”고 한 말도 논란을 불렀다. 기업들은 주력과 비주력을 어떻게 구분할 것이며, 지분을 파는 게 꼭 옳다고 할 수 있는지, 판다면 누구에게 팔아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과거 인터뷰에서 “기업 지배구조에 정답은 없다. 그 시대 발전 단계와 그 기업 실정에 맞는 모델을 스스로 찾아가는 것이지 강제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생각을 바꾼 이유가 궁금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