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5000억 조성 사업
동참하라는 요구에 불만
"사회공헌은 개별기업의 몫…
글로벌 표준에 어긋난다"
한국씨티銀, 부담 줄이려
기준 변경 등 동분서주
[ 김순신 기자 ] 은행연합회가 중심이 돼 은행들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회공헌사업이 외국계 은행의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발맞추기 위해 외국계 은행들이 예정에 없던 재원을 조달하려니 외국인 이사들이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이의를 제기해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2018052201541_AA.16781693.1.jpg)
은행연합회가 주도해 은행들이 함께 하는 사업은 통상 회원 은행의 자산, 예금잔액, 당기순이익 등을 가중평균해 정한 경비분담률을 기준으로 재원을 마련한다. 하지만 이번엔 기준이 당기순이익으로 바뀌었다. 한 은행 관계자는 “한국씨티은행이 비용 분담 기준을 당기순이익으로 바꿔달라고 은행연합회에 요청했다”며 “박진회 한국씨티은행장도 다른 은행장들에게 도와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씨티은행장까지 나서서 기준을 바꾼 이유는 이렇게 하는 것이 조금이라도 경비를 덜 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한국씨티은행의 올해 은행연합회 경비분담률은 3.7% 수준으로 알려졌다.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산출한 분담률은 2.8%다. 공동사업 규모가 5000억원이면 기준 변경에 따라 한국씨티은행의 부담은 185억원에서 140억원으로 45억원가량 줄어든다.
한 은행장은 “한국에만 있는 은행 공동 사회공헌사업에 대해 미국 씨티은행 본사가 글로벌 표준이 아니라며 반대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박 행장으로선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은행의 한 임원은 “외국계 금융회사는 자체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금융권 공동사업은 말이 안 된다고 여긴다”며 “사실상 준조세로 여기는 그들의 판단에도 일리가 있다”고 평가했다. 보험사 중에서도 메트라이프생명과 푸르덴셜생명 등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박 행장은 이와 관련해 “정부나 연합회에서 추진하는 모든 사업에 한국씨티은행이 참여하지 않은 적이 없다”며 “경비 분담 방식은 은행연합회 이사회에서 논의를 통해 결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